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19세기말 조선에 진출한 중국 상인들과 조선인들과의 충돌과 갈등으로 발생한 소송을 통해서 당시 한중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주로 袁世凱가 駐紮朝鮮總理交涉通商事宜로 재임하고 있던 시기인 1885년 9월에서 1894년 6월 사이 한중간의 訴訟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는 駐朝鮮使館檔에 실려 있는 소송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들 소송의 연구를 통해서 한중간의 다양한 갈등과 충돌 양상을 찾아보았다. 상업 활동과 관련된 소송뿐만 아니라 문화적 갈등에서부터 초래된 소송도 있었다. 중국 상인들이 조선의 각 지방으로 활동 영역을 넓히면서 발생한 충돌이 많았으며, 개방되지 않는 지역에서 불법 활동을 하다가 갈등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었다. 중국 상인들이 조선인에게 해를 입히는 경우도 있었지만, 소송에까지 이른 것은 중국 상인이 피해를 입은 경우였다. 그 가운데 조선인에 의해 중국 상인들이 살해당한 경우도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鄭耀, 趙春發, 劉永貴, 孫達廷과 初學仁 등 중국 상인의 살해사건과 관련된 소송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모두 조선인이 범인으로 추정되는 사건이었다. 이들 사건의 처리 과정에서 청나라는 불평등조약의 특권을 이용하였다. 그들은 사건 조사와 소송 과정에서 강압적인 자세를 취했고 수시로 압력을 행사하였다. 사건 발생 초기 조사에서 조선은 협조하였다. 청조의 요구에 따라 범인도 잡아 효수형에 처하기도 하고 배상금을 물어주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측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요구대로 해결된 사건은 없었다. 사건과 관련된 현장 조사의 어려움과 조선측의 소극적인 자세도 이유 중의 하나였다. 조선 관리들로서는 불평등조약 때문에 중국에 협조하지 않을 수는 없었지만, 그러한 경우는 전체 소송 안건의 일부에 그쳤다. 袁世凱를 앞세운 그들의 간섭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였던 것이다. 조선에 대한 중국측의 간섭이 적극적인 시기였기 때문에 소송이 중국측의 요구대로 진행되지 않았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Korean-Chinese Relations by analyzing legal cases caused by the conflicts and collisions between Koreans and the Chinese Merchants who had advanced to Korea in the late 19th century. Specifically the period from September 1885 to June 1894, that Yuan Shikai held the position, Zhùzhā Cháoxiān Zǒnglǐ Jiāoshè Tōngshāng Shìyí(駐紮朝鮮總理交涉通商事宜) in Korea is the span to be researched. And legal cases which were put in the book, Zhù-Cháo-Xiǎn-Shǐ-Guǎn-Dàng(駐朝鮮使館檔), were used as historical source materials to be analyzed. Variety of conflicts and collisions between two peoples were found through this study. Not only legal cases concerning trading activities but also cases caused by cultural contradictions were discovered. Mainly these legal cases between these two peoples happened, while the Chinese merchants were expanding their sphere of mercantile activities to various regions of Korea, even advancing to the region which was not legally permitted. Even though cases that Koreans were victims were discovered, most legal cases which were brought to the court were those that Chinese merchants were victims the criminal. There were also murder cases that the Chinese merchants were killed. This essay is concentrating on surveying murder cases, such as the case of Zhèngyào(鄭耀), the case of Zhàochūnfā(趙春發), the case of Liúyǒngguì(劉永貴), the case of Sūndátíng(孫達廷) and the case of Chūxuérén(初學仁), all of whom were the Chinese merchants acting in Korea. And all of them were suspected to have been murdered by Koreans. Ch'ing China took advantage of the privilege of unequal treaty, while treating these cases. They frequently oppressed the Korean judicial authority not only in the investigation of the case but also in the procedure of suit. The Korean authority was generally very conciliatory, decapitating the criminals or paying compensations on the demand of China. However, in spite of the Chinese oppressions, few cases were decided as China demanded. Investigating the spot where murder took place was very difficult, and Korean authority was not so active in the investigation. Though the Korean officials were forced to be conciliatory to China under the unequal treaty, it was scarce that China achieved the exact results they wanted to have in spite of the interferences of the Chinese officials like Yuan Shikai. Considering that it was a period that Chinese interference in the Korean politics was the most active,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achieve their goals as they wanted is historically significant enough to further research in the future, I belie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