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1세기에 들어간 오늘 날에 이르러서도 식민지 관계에서 연유한 한일 간의 불신은 강하고 관계 정상화로의 길은 여전히 멀다. 지금까지 이와 같은 ‘비정상적’인 한일관계 구축의 원인 규명에 관해서는 주로 한일 국교정상화 교섭에 그 초점이 모아져왔다고 말할 수 있다. 한일관계의 비정상화가 결국 주로 식민지 관계에서 연유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한일회담이 매끄럽지 못한 전후 한일 관계의 시발점이 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수교로 인해 일단 물꼬가 터진 한일관계가 그 후 어떤 논리로 인해, 어떠한 관계를 연출하게 되었는가, 또한 그것이 현재까지 정상화되지 않는 한일관계에 어떤 함의를 안겨주었는가 하는 물음들을 고찰하는 작업 역시 전후 한일관계 분석을 위한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이 글은 바로 이상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일 양국의 관련 외교문서를 적극 분석하면서 수교 직후인 1966년부터 미중화해로 인해 동아시아에 본격적인 데탕트가 들어서게 된 1972년 무렵까지의 한일관계 구축의 과정과 논리를 분석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이 시기는 한일협력 체제 확립의 시기로 평가되는 것이 대세이다. 그러나 거시적으로는 타당한 이 이해의 틀은 반대로 그 협력 체제가 형성되어간 ‘미시적’인 과정이나 논리로 인해 오히려 이후 오늘까지 이어진 한일관계 ‘비정상화’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는 측면을 흐리게 하고 있다. 이 글은 바로 이 시기의 한일관계가 ‘전체화’와 ‘국소화’라는 일견 모순된 논리로 전개되었음을 논증하면서 결국 그 어느 한 쪽 역시 한일관계를 ‘정상화’시키는 데 한계를 안고 있었음을 밝힌다.


It is almost fifty years since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was accomplished. But the distrust and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still governs the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Until now,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he negotiations for diplomatic normalization(1951-1965) for clarifying the reason of the distrust and conflict, because the negotiations had coped with the pending problems stemming from the colonial relations. But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ations after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for understanding the abnormal relations which have remained at present, because it is impossible to think that the conflict originating in Japanese rule against Korea could be resolved and normalized at a time by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The period from 1966 to 1972 before the détente by the reconciliation between US and China has been understanded as the one of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understanding is, of course, not mistake from the macroscopic analysis. But at the same time, we need to take note that ‘the cooperative relations’ have the negative sides in the meaning of strengthening the distrust and conflict between two countries to the contrary. This paper, by the studying the diplomatic official documents which have not been much analysed, discusses the logics and processes of the formation of Korea–Japan relations(1966-1972) after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and clarifies the negative influences to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then.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argues that this time’s relations were formed simultaneously as the ‘totalization’ and ‘privatization’, but both sides had the limits to promote the normalization, and fixed abnormal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