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우리사회에서 통일인식 차이를 유발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기존 연구에서 강조되어온 세대차, 이념, 지지정당, 민족적 유대감, 편익 계산 등의 다섯 요인이 통일의 당위성, 통일 예상시기, 통일비용 부담, 통일세 신설, 통일 후 빈부격차 등과 같은 통일관련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다. 본 연구진이 실시한 2015 SBS-EAI 통일한국 설문조사 자료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최근 편익계산에 기초한 합리주의적 요인이 남한주민의 통일인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등장하였음을 밝힌다. 특히, 민족적 동질성에 기초한 당위론적 사고가 강했던 기성세대와 달리,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편익 계산에 기초한 합리주의적 관점에서 통일을 바라보는 시각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인다.


This article examines what explains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unification among South Koreans. From previous studies on this subject, we derive five major independent variables: generational differences, ideology, party identity, national connection with North Korea, and cost-benefit calculations. Based on regression analyses of the survey which we conducted, we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five variables on the perceptions of South Koreans regarding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expected timing of unification, willingness to bear unification costs, unification taxes, and gap between rich and poor after unification. The main finding of our research is that the cost-benefit calculation is the dominant factor that explains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South Koreans about unification. Specifically, such a trend is very strong among young people who tend to view the issue of unification from a cost-benefit angle, unlike older generations that have long approached the same issue from the viewpoint of a national connection with Nor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