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1990년대 초반의 탈냉전기부터 2000년대 중반의 참여정부기에 이르기까지의 동아시아와 동북아의 외연과 내포에 관한 연구다. 동아시아와 동북아라는 지역상은 너비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깊이도 갖는다. 다시 말해 국가 단위의 병렬적 나열로서는 드러나지 않는 층위가 있다. 동아시아 담론에서 동아시아라는 개념은 지리 범주를 가리키는 단순한 지역명에 머물지 않고 지역지평, 지역질서, 경제권역, 문명권, 사유공간, 연대의 장 등 다양한 용법으로서 거론되었다. 동아시아 담론을 한국지식계에서 학술적 전통으로 자리매김하고 동아시아 담론의 현실적 용법을 신장시키려면 그 혼란상을 정리하기 위해 동아시아 담론 자체의 인식론적 토대와 배치를 되묻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동아시아와 동북아의 외연과 내포를 분석하고 도출해내고자 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the East Asia and the Northeast Asia from the post-Cold War Era in the 1990s to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in the mid-2000s. The regional image of East Asia and Northeast Asia does not exist only as width, but it also has depth. In other words, there is a level that cannot be revealed by a parallel enumeration of national units. The notion of East Asia in the East Asian discourse did not remain simply as a regional name, but was discussed in diverse usages, including as a regional prospect, regional order, economic region, cultural sphere, space of thought, and field of solidarity. To settle the East Asian discourse as an academic tradition in Korean intellectual world and extend its practical usage, a work that questions the epistemological foundation and arrangement of the East Asian discourse itself again is required to organize this state of confusion. Namely, it attempts to analyze and draw the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East Asia and North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