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매체의 여론 지배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여러 시도들이 있었지만 구체적인 측정방법이나 지수 구성방안에 대해서는 상이한 견해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수구성 방식에 대한 견해 차는 무엇보다도 지수 구성 방법의 타당성을 평가할 기준이 명확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기존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매체의 효과가 매체 이용으로부터 발생한다는 가정을 전제하고 있으면서도 매체 효과를 경험적으로 측정하여 지수구성 과정에 포함하거나 또는 평가하는데 활용하지 않았다. 즉 매체 이용과 효과간의 관계에 대해 가정이 서로 다르면서도 이것을 분명하게 드러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처럼 매체의 여론 지배력을 평가하는 방법의 구성에서 효과에 대한 경험적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론적인 논점들이 해결되지 않았다고 본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매체 이용의 효과를 조작적으로 정의해 지수 모형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음을 제시했다. 나아가 매체 이용의 효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어떤 매체의 효과가 발생하는 데 필요한 최소 이용을 의미하는 유효이용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매체의 여론 지배력 평가 과정에서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에 대한 예를 제시했다. 또 매체 이용 효과 측정 및 유효이용 산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지수구성의 사례를 예시했다.


This study aimed to answer the question of why previous indices and research concerning media diversity could not reduce differences between methods of index construction that seem to share a similar theoretical framework. We examined previous indices and research, assuming that the absence of the criteria for evaluating methods of index construction incurred the current disagreement. In so doing, we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impact of media use has not been empirically measured, even though the impact has been the key presumption of measuring media use instead economic indices (e.g. revenue) and adding different weights to different types of media. Therefore we suggested to operationalize and include the impact of media use in diversity indices. Moreover, we suggested a concept of “effective use” to utilize the impact of media use in diversity index co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