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시간 경과에 따른 가족 요인과 가구 경제요인의 변화가 우울의 변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차~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패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만족 변수인 ‘가족수입 만족도’, ‘주거환경 만족도’, ‘가족관계 만족도’의 변화가 우울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적인 우울 유지군의 경우 ‘나이’, ‘기초생활수급 지위 변화’가, 기타 군은 ‘가구원 구성형태’, ‘총 생활비’ 등이 시간 경과에 따라 우울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서 포괄적인 가족지원을 통해 만족도를 증진하는 것이 우울 감소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사회경제적 불평등 조건에 놓인 지속적 우울 유지군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and household's economic factors on depression.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pane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wave 1~4 of KWP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actors affecting the reduction of depression were income satisfacti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s. Also, In consistently depressive group, ‘age’ and ‘change of public welfare status’ have effects on depression levels. In other groups, ‘type of household’ and ‘living expenses’ have effects on depression levels.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was abl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atisfaction enhancement through comprehensive family support to reduce the level of depression. The necessity to support the consistently depressive group who are in condition of socioeconomic inequality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