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Lee Myung-bak government put economic growth in his main agenda which aimed a trickle-down effect through “business-friendly.” His government offered various benefits such as deregulations and tax-cut to chaebol. Lee government policy toward big businesses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deregulation period” from 2008 to first half of 2009; “transition period” that focused on protection of working class and large and small companies from second half of 2009 to mid-2010; and “fair competition and controlling inflation period” that strengthened chaebol restrictions and administrative guidance from 2011 to 2012. All these changes emerged because the trickle-down effect failed and the demand of economic democratization rose before the election in 2012. When civil society were relatively excluded, the policy change was followed by the conflict within the ruling party due to the election loss and policy issues. Economic policy of Lee government eventually became the target of criticism for both working class and capital which means that the government’s autonomy is seriously compromised. Despite the policy change, Lee government could not stop the pro-business policies even in order to fulfill his main agenda of economic growth.


이명박정부는 전직 대기업의 CEO라는 경력을 부각하고 참여정부를 경제적으로 실패한 정권이라고 비판하며 출발했다. 이명박 정부는 핵심과제를 경제성장으로 삼았는데 그 방식은 대기업 성장의 적하효과를 노리는 ‘비즈니스 프렌들리’, 즉 친기업정책이었다. 대기업에 관련한 공정거래법상의 규제철폐와 세제혜택을 비롯한 여러 혜택을 주었다. 그러나 이명박정부는 대기업 규제완화기(2008-2009년 전반)에서 서민과 중소기업 보호에 정책적 관심이 나타난 전환기(2009년 하반기-2010년), 재벌규제 및 행정지도가 강해진 공정경쟁 및 물가집중기(2011년-2012년)로 정책이 변화했다. 이러한 변화는 대기업에 기대한 적하효과가 크지 않았으며, 경제민주화 요구가 선거를 통해 나타났기 때문이다. 야당과 시민사회가 상대적으로 배제된 상황에서 선거패배와 정책이슈로 거세진 여당 내 정책변화 요구와 친이계의 몰락에 따른 것이다. 결국 이명박정부의 경제정책은 서민과 자본 모두로부터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이는 정부의 민주적 자율성 약화를 의미했다. 정책변화 시도에도 경제성장의 핵심과제 성취를 위해 이명박정부는 임기 마지막에도 친기업적 정책의 끈을 놓을 수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