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외 정보학 분야의 지식 구조화(생산․전파․구조)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정보관리학회지」와 국외 「JASIST」에 게재된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공저, 인용, 키워드 간의 관계에 대한 기초 통계데이터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와 국외 정보학 분야 지식 구조화는 유사한 형태로 학문적 지식이 소규모 집단을 중심으로 집단에 속해 있는 연구자들 간의 빈번한 협력 연구에 의해 생산되며, 이렇게 생산된 연구 지식은 연구자들끼리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호작용을 통해 빠르게 이전 확산되고 있었다. 하지만 국외 정보학 분야의 경우 이론적이고 기술적 측면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제적 측면에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는 반면 국내 정보학 분야는 도서관과 관련된 문헌정보학 측면에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져 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understood the overall cyclical process of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knowledge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centering around the interactive relationships among researchers, research activities and research knowledge based on this,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knowledge structur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and draw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tatistical analysis and a network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co-author, citation and keyword with academic articles published in the representativ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journals, JKOSIM and JASIST between 2010 and 2014. To sum up the research results, it is found that there are similar production, propagation, and structure of knowledge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However, It was found that, in the domestic information science, overall, studies in the field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lated to the library such as information service, informetrics and information use were actively conducted. In contrast, in the 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interdisciplinary studies were actively conducted, like computer-related information science from theoretical and technical aspects, such as informetrics, information retrieval, and information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