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그간의 사회학적 전통의 생활양식 개념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재검토하고, 그에 기초한 생활양식과 ‘삶의 질’(QOL) 연관성의 분석틀을 구성․적용하여, 생활양식 유형에 따른 도시민의 집단별 삶의 질 차이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서 그간 국내 학계의 삶의 질 연구에서 간과해 왔던 생활양식 개념의 이론적 의미를 부각시키고, 다른 한편으로, 도시민의 삶의 질 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정책요소를 제시한다. 첫째, 도시민의 삶의 질 연구를 위해서는 객관적 여건이 유의미한 요소지만, 무엇보다 주관적 인지의 측면이 주요변수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계층 변수는 여전히 도시민의 집단별 삶의 질 차이를 초래하는 변수로 드러났으나, 그간 간과되어 왔던 지역 변수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였다. 셋째, 생활양식의 삶의 질 연관성 중에서 여가생활 측면의 효과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고, 특히 수동적인 여가태도보다는 적극적인 여가 활동이 더 큰 삶의 질 연관성을 보인다. 넷째, 참여적 활동은 기대와 달리 생활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생활양식보다도 불편함을 감내하는 친환경적 실천행위가 더 큰 삶의 질 연관성을 보였다.


The following research reconsiders the lifestyle concept in sociological tradition and theoretically reconstructs a conceptual framework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style and the quality of life (QOL). It’s purpose is to explore group QOL differences resulting from lifestyle differences of urban residents. Through this research,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lifestyle concept,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the national research of quality of life for some time, can be emphasized. While also making suggestions on policy implica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tudy of QOL. First, it can be confirmed that while objective conditions are significant in the research on urban QOL, subjective perceptions cannot be ignored as major variables. Second, although social stratification factors remain an important variable in causing QOL differences among urban residents, regional variables, which were long overlooked, must also be considered a significant factor. Third, among lifestyles related to QOL, leisure was found to have the most effect—active leisure activities in particular show a tighter relationship with QOL than passive attitudes. Fourth, the relation between participative lifestyle-considered an action towards self-realization—and QOL can also be confirmed. An eco-friendly practice that sacrifices convenience, rather than a lifestyle that pursues it, shows a more significant QOL 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