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범죄에 사용될 수 있는 흉기와 같은 위험한 물건을 표상할 수 있는 차원을 발견하고 그 차원상에 흉기들을 표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60가지 물건을 대학생 356명(남: 146명, 여: 210명)에게 8가지 차원(사용빈도, 물건 용도의 다양성, 물건으로 인한 상해 가능성, 물건으로 인한 상해경험, 물건의 피해범위, 개인의 통제 가능성, 위협정도, 범죄사용 가능성) 상에서 평정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60개 사물을 표상할 수 있는 차원을 발견하기 위해 8가지 차원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물을 표상할 수 있는 2개의 차원을(위험 가능성 / 이용 가능성) 발견하였다. 60가지 물건은 위험 가능성 2(상/하) × 이용 가능성 2(상/하)의 4차원 상에 고르게 분포하였다. 이와 같이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흉기에 관한 심리적 표상구조를 나타내는 것은 우리의 법체계상에 나타나는 흉기에 관한 법률적 판단과 사람들이 생각하는 흉기에 관한 심리적 판단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 같은 시도는 재판에 대한 공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people’s risk perception of dangerous objects or weapons that can be used in a crime. It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legal and general perception about what is a weapon. 356 students (male, 146) evaluated 60 objects according to 8 dimensions: frequency of use, usefulness, the possibility of injury by an object, experienced injury by an object, the extent of damage, controllability, threat level, availability on a crime. The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8 dimensions using the method of Slovic, et al. (1987), to represent 60 objects to each dimension. As a result, 8 dimensions were summed up two major factors. One factor was the possibility of utility, and another factor was the perception of the potential risk. This result seemed to give a different sight of perceiving weapons in criminal justice system, showing several risk perception on a dangerous object. Taken together, it sounds proper to apply broader definition of a weapon and this will be able to provide a way to increase fairness and reliability of a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