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령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다차원적 배제 실태를 밝히고, 배제 경험의 역동성을 유발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6-2012년 한국복지패널자료에 나오는 2,059명의 중고령 가구주를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적 배제 실태 및 변화 추이를 고찰하고, 2006-2007년 자료를 사용하여 배제진입과 탈피 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사회적 배제의 빈도는 감소하였지만, 고용영역에서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또한 중고령 가구주의 사회적 배제는 경제, 사회참여, 고용, 건강 등 여러 영역에서 일어나며, 영역 간에 서로 관련성이 있어 이들이 사회적 배제를 동시에 혹은 중첩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배제를 벗어날 요인으로서는 성별과 연령, 교육수준, 종사산업, 직종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역으로, 사회적 배제로 진입할 요인은 고용형태와 사업체 규모 등 경제활동특성이 강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적 배제를 겪고 있는 집단에 대한 지원방안으로 안정된 고용지위를 획득할 수 있도록 인적 자본 개발을 통한 고용능력 강화가 필요함을 말해 준다.


Considering the rapid increase of retirement of the middle aged workers since 2011 in Korea,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multi-dimensionality and dynamics of social exclusion of middle aged householders using the pooling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 2006-2012). We categorized the types of change in social exclusion states(dependent variable) into two groups; excluded-non excluded vs non excluded-excluded. The dimension of social exclusion was categorized into six sub-dimensions: finance, housing, employment, health, educ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determining variables are demographic factors(gender,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family characteristics(residential area), and economical factors(work status, occupation, industry and size of firm).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d that work status, type of occupation and industry have strongest explanatory power for escape from exclusion. Also educational attainment was related with the change of social exclusion state. Conclusively, social exclusion is dynamic process its sub-dimensions are affecting each other in the middle aged householders. This result implies that unemployed middle aged householders are exposed to the overall social vulnerabilities and thus are easily trapped into the social disadvan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