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이즈미류교겐 중에서 최고(最古)의 대본과 비교적 늦은 시기의 대본을 대상으로 하여 가능표현 형식의 이동(異同) 및 의미에 관해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天理本狂言六義』 『新撰狂言集』 『和泉流狂言大成』에서 사용되는 주요 가능표현을 분석함으로써 중세 일본어에서 근세 일본어까지의 일본어 가능표현의 변천 과정을 파악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일본어의 가능형식은 상대(上代)에서 중고(中古), 중세(中世), 근세(近世)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마다 형식의 소장(消長)이 주목되는데, 특히 중세일본어에서 다종다양한 가능표현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본이라는 언어자료를 통해 중세일본어의 대표적인 가능형식인 「え+부정」, 「V.연체형+ことがなる/N+がなる」, 「V.미연형+るる․らるる」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고, 어떤 가능의 의미를 실현하고, 어떤 유형의 구문을 취하고 있는지에 관해 검토를 행했다. 그 결과, 「え+부정」과 「V.연체형+ことがなる/N+がなる」형식이 쇠퇴하고, 「V.미연형+るる․らるる」형식이 증가하는 변화상을 제시하고 변화의 요인에 관한 소견을 피력했다.


In this study, variations in possibility expressions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ese variations a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the oldest and relatively late script of Izumiryukyougen (和泉流狂言). To be specific, the main objective i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transition stages in Japanese possibility expressions by examining the major possibility sentences from 『Tenribon (天理本)』, 『Izumiryukyougentaisebon (和泉流狂言大成本)』, and 『Shinsenkyougenshubon (新撰狂言集本)』. It is notable that Japanese expressions of possibility demonstrate an ebb and flow over time,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ages, and in particular, the diversity found in the Middle Ages is worth studying.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presentative forms of possibility in the middle ages-「e+denial」, 「~ruru․raruru」, 「~kotoga naru/N+ga naru」- are used, what significance they have, and what structure they build through the script used. Through this process, the causes of the decline in 「e+denial」「~kotoga naru/N+ga naru」 and the increase in 「~ruru・raruru」 are also stud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