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어 음성 습득 과정에서 어려움이 많은 항목의 하나로 모음의 장단 구분을 들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학습자에 의한 일본어 모음의 장단 지각시 나타나는 오류 경향에 대해, 학습자의 학습기간, 단어 내 장음 위치, 악센트형, 단어 길이라는 네 가지 요인을 관점으로 하여 이들이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방언 화자 88명을 학습기간에 따라 A군, B군, C군으로 나눈 피조사자군를 대상으로 청취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취조사에서 학습자에게 단어 내 요인을 고려한 단어 음성을 듣고 단어 내 장음의 유무와 장음이 있는 경우 그 위치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먼저, 한국인 학습자는 학습 기간이 늘어날수록 일본어 모음의 지각변별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 단어 내 장음 위치를 잘못 판단하기보다 장음을 단음으로 잘못 인지하는 경향이 더 강했다. 둘째로, 한국인 학습자의 단어 내 장음 위치의 판단은 어두나 어중 보다 어말에서 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생성면에서도 장음 발음이 어말에서 어렵다는 결과가 있어 지각면과의 상관성을 유추할 수 있다. 그리고 악센트형에서는 피치가 높은 HH형이나 LH형 장음의 청취가 용이하고 LL형 장음의 청취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장음에서의 높은 피치가 학습자의 지각 판단에 영향을 미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장음의 지각보다는 단음의 지각이 더 용이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how Korean students who are learning Japanese perceive long and short vowels in Japanese. Eighty-eight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 testing. The grouping was made according to the learning period. The perception of each student is measured with a listening test of 68 words that have different pitches, long vowel positions, and accent types. From this test, the following results emerged. First, as the learning period becomes longer, learners are able to perceive vowels better. This result should be obvious. But it is somewhat surprising that students have more trouble in perceiving the difference between long and short vowels than the positions of long vowels. Moreover, the factors boundary dividing the long and short vowel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native speakers. Second, it is more difficult to perceive long vowels when they are in a final position compared to in the initial or middle positions. Third, students can perceive more accurately in the HH accent type or LH accent type than the LL accent type. Finally, students have more difficulty perceiving long vowels than short vow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