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극작가 김우진의 ‘생명력’의 사유를 분석하는 것이다. 김우진의 희곡 작품 세계의 특징은 생명력을 주제로 했다는 점이다. 이 글에서는 김우진의 <산돼지>(1926)의 ‘생명력의 리듬’의 스케치가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과 공명하는 사유 안에서 구상된 것임을 해명한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그의 평론․수상․일기 등의 현실 인식과 생명력의 사유가 어떻게 접속되는지 규명했다. 선행연구에서 ‘생명력과 역사의식의 충돌’로 요약한 바와 같이 여러 논고의 현실 인식과 ‘생명력’의 사유는 간극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차이를 생각하는 데 일본 다이쇼 시대를 특징짓는 생명의 키워드가 단서가 된다. 또한 다이쇼 시대의 생명력의 철학은 김우진의 계급의식과 개인과 공동체 인식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도 유효한 시사를 준다. 그 결과, 김우진의 생명력의 사유와 베르그송과 동시대의 생명력의 철학이 맺는 관계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speculation of‘Life force’of dramatist yujin kim. A characteristic of the drama work of yujin kim is to have regarded Life force as the subject. This article considered it how his speculation of Life force and reality recognition to link in various criticism and the essay and the diary of yujin kim., especially on the extension of the discussion that‘rhythm of the Lifeforce’ of yujinkim’s SanDoeji(A wild boar)(1926) was elaborated in consonance with philosophy of the life of Bergson. There seems to be gaps between the reality recognition and the speculation of the ‘Life force’, such as summarization as the‘Life force’ and collision of the history awareness in the precedent study. A keyword of the life characterizing the Taisho era in Japan becomes the clue on thinking about this gap. In addition, the philosophy of the‘Life force’ of the Taisho era gave us the suggestion that was effective the class consciousness of yujin kim and the analysis over relations between the recognition of an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As a result, that makes it possible to depths-like appreciation that speculation of‘Life force’ of yujin kim has been corresponded to the philosophy of Bergson in the same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