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박근혜정부 시기의 자유민주주의 상황에서 민주주의 결핍들을 확인함으로써 한국 민주주의의 개선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민주주의 연구로서 유명한 프리덤 하우스 지표(Freedom House Index)와 BTI(Bertelsmann Stifutung’s Transformation Index)의 지표를 기초로 드라이젝(John S. Dryzek)과 던리비(Patrick Dunleavy)가 제시하는 민주주의 결함내용에서 공통적인 요인들을 중심으로 한국적 민주주의 지표로서 재구성하여 활용한다. 먼저 한국의 자유민주주의에 있어서 민주주의 결함의 지표는 관료 및 정치인의 권한남용, 자본 및 기업 중심의 정책결정, 선거(제도)와 정당의 비민주성, 이념적 편향과 국가권력에 의한 민주적 권리의 제약 그리고 시민의 주체의식의 약화와 시민단체 및 거버넌스의 미성숙 등으로 요약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정치부문에서 옴부즈만제, 개방형 경선제, 권역별 정당비례투표제, 선호과반수 투표제 그리고 이원집정부제적 권력구조를, 경제부문에서는 기본소득과 사회적 지분급여를, 이념부분에서는 사법권의 회복적 정의를, 그리고 시민사회부문에서는 공민학을 기초로 공민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중단기적으로 제도적 및 비제도적 방법의 도입, 보완, 개선 그리고 활성화가 필요하다. 이와 병행하여 장기적으로 선거민주주의를 보완하는 심의민주주의를 활성화하고 궁극적으로 한국의 자유민주주의는 시민공화주의로 나아감으로써 공공성에 기초한 민주주의를 확대해 가야 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mote democratic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deficit of liberal democracy in South Korea.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based on the Freedom House indicators (Freedom House Index) and BTI (Bertelsmann Stifutung's Transformation Index) well-known as democracy studies and also moreover on indicators of John S. Dryzek and Patrick Dunleavy. They have been proposed deficit on the liberal democracy in the contemporary. South Korea's liberal democratic deficit are abuses of bureaucrats and politicians power, policy-making of capital and corporate centered, non- democracy of elections(institutions) and political party, the ideological bias and constraints of democratic rights by the state power and weakening of citizenship. There are so many complimentary measures as Ombudsman in the political sector in order to protect of power abuse, open primary, regional parties proportional voting system, preferential majority voting and semi-presidential system, the basic income and social stakeholder granters in the economic sector, restorative definition of jurisdiction and amendment of National Security Act in the ideological part, and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civic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public(civic) in the civil society sector.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introduce, complement, improve and activate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methods in the medium-and short-term, we have to enlargement deliberative democracy that complement the electoral democracy. Moreover, by combining with these medium-and short-term measures, we have to enable South Korea to accomplish the public(civic) in the long term. It must go to the civic Republicanism ultimat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