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로컬리티라는 담론을 중심에 두고 재일조선인의 삶에서 ‘평양’이라는 공간이 갖는 중층적인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재일조선인 양영희감독의 <디어 평양>, <굿바이 평양>, <가족의 나라> 세 편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세 편의 영화에서 재일조선인 1세~3세를 서사의 주체로 놓고, 평양의 의미를 다층적으로 구성해보았다. 서사의 주체를 고정시켜 놓더라도 평양의 의미는 체험을 통해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였다. 평양이라는 공간을 둘러싼 재일조선인 1~3세의 시선의 교차와 의미의 간극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일조선인 1세에게 조국 평양은 차별과 억압이 없는 인간적인 곳이며, 지상낙원이자 어머니의 품처럼 포용력 있는 곳이었다. 하지만 아들을 통해 실체를 마주하게 된 평양은 이념적 공간에서 만남의 기쁨과 이별의 슬픔을 느껴야 하는 실제적 공간으로, 열린 공간에서 닫힌 공간으로 의미가 치환되었다. 평양이 담고 있는 의미는 변하였지만 아버지는 여전히 조국 평양을 위해 충성하고, 조국이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 이러한 아버지의 태도는 이념적 지향성을 넘어 평양을 아들 가족이 살아가야 하는 공간으로 인식하는데서 기인하였다. 둘째, 재일조선인 2세에게 평양은 이해할 수도 없고, 납득할 수도 없는 ‘그 나라’로 3인칭의 공간이었다. 평양은 정서적으로 먼 곳에 존재하는 ‘그 나라’이지만 물리적으로는 나와 내 가족의 존재와 생존의 근거지가 되는 1인칭의 공간이었다. 그렇기때문에 어떻게 해서든 살아남아야 하는 공간이었다. 평양의 의미를 구성했던 재일조선인 1세와 2세들의 시선은 엇갈렸고, 의미는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 재일조선인 2세는 아버지를 이해할 수 없었듯, 평양이라는 공간도 이해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들이 충돌하고 갈등하면서 마지막에 귀결되는 평양의 의미는 가족이 있는 곳이며, 거부할 수 없는 운명처럼 생존을 위해서는 받아들여야 하는 공간이었다. 양영희 영화 세 편은 충돌과 갈등의 공간을 보여주는 데서 그치지 않고, 평양이라는 로컬이 갖는 치유의 의미가 무엇인지까지 모색하고 있었다. 국민국가의 경계를 지우고 평양을 바라보았을 때, 평양은 보고 싶은 사람이 있는 곳, 보고 싶은 사람이 나를 기다리는 곳이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tratified meanings of the space - "Pyeongyang" - among Korean residents in Japan, centering on the arguments of a locality. Ultimately, it is to provide insight on the healing effects of the locality of Pyeongyang. Through the three films of director Yeonghui Yang, examined are the complex meanings of 'Pyeongyang,' 'North Korea,' which is the other motherland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 significance of Pyeongyang is not the same among Korean residents in Japan. Rather, it is stratified among nationalities and generations depending on the subject of narration. Even with the subject of narration fixed, the significance of Pyeongyang is not immutable but flexible depending on one's experience. Significance of Pyeongyang among Korean Residents in Japan is as follows. In time of North Korea's 'homecoming project,' Pyeongyang was an ideal space with no discrimination or oppression to the 1st gen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Yet, Pyeongyang that he faced through his son was changed from an ideal space to a space of reality where the joy of meeting and sadness of separation coexisted, and from an open space to a closed one. Since the father recognized it as a space where the family was to live regardless of the ideological orientation, however, he would be loyal to Pyeongyang and never betray his motherland. To the 2nd gen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Pyeongyang is 'the nation' which can neither be understood nor be accepted. On the other hand, however, it is a base where a new family settled down independently and the base of current existences. In terms of emotional ideology, Pyeongyang is a space of the strange third person that restrains existences. In terms of geography and physics, it is a space of the first person where 'I' and 'my family' could survive. These two inconsistent meanings are similar to the emotions between the 2nd generation Korean resident in Japan and his father as the 1st generation. The three films of Yeonghui Yang are not limited to showing the gap between the images of Pyeongyang that the two generations had but go further toward suggesting the way to narrow it down and make a contact point as well as exploring the healing effects.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for the son to understand Pyeongyang is interlinked with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and understanding the father. This way, the two different meanings of Pyeongyang between the 1st and 2nd generations met at one point - family. Both encountered the actual circumstances of Pyeongyang as the first person space where a family should overcome ideological prejudices and live together. In the films, the meaning of space as a boundary of a nation-state is erased through a dark change, and the meaning of the emptied space is filled with family. The image of North Korea as a nation-state and that of Pyeongyang as a capital of revolution are erased and replaced with that of a place where someone you miss lives and waits for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