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탈북이주민을 다문화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한 것이다. 탈북 이주는 경제적 문제로 초점화되는 경향이 강해질수록 탈북이주민을 받아들이는 한국사회에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그러한 사회문제는 경제적 지원이나 정치적 포용만으로는 해결할 수가 없다. 탈북이주민은 한국(남한)의 입장에서 볼 때, ‘국민/비국민’의 경계에 서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들을 좀 ‘특별한 디아스포라’로 인식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디아스포라의 결과 한 국가 내에 출현하게 되는 다양한 민족 집단이나 구성원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개념이 ‘다문화사회, 또는 다문화주의’인데, 탈북이주민 역시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면 그러한 개념에 포획될 수 있다. 그렇지만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탈북이주민은 ‘국민/비국민’의 경계에 위치하여 있는 존재들이기에, 순수한 의미에서의 타민족 집단과는 어느 정도 구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necessity of the recognition of refugees from North Korean as members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stronger the tendency to focus on the escape and immigration from North Korea as an economic issue, the higher the possibility that serious social trouble is triggered. However, such a social issue cannot be solved by economic supports or political embracement. As refugees from North Korea are seen as people standing on the borderline between ‘citizens’ and ‘non-citizens’ from the perspective of South Korea, we need to recognize them as a little ‘special Diaspora.’ Given that the concept used to analyze those various ethnic groups or members emerging within a country as a result of Diaspora is ‘multi-culture’ or ‘multiculturalism,’ refugees from North Korea can also be captured by that concept if we see them frlom the perspective of Diaspora. However, refugees from North Korea should be somewhat differentiated from other ethnic groups in a pure sense of ‘ethnic’ as they are beings positioned on the borderline between ‘citizens’ and ‘non-citizens’ from the perspective of Diaspo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