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구술의 원형 특징인 ‘집단창작성’, ‘쌍방향성’, ‘장소성’이 아카이브 과정에서 고정된 단순정보로 변하여 디지털 아카이브화 된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기존의 아카이브가 단순히 수집과 보존, 이용자들의 효율적인 정보 접근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구술이야기가 본질적으로 가지는 구연상황에 의한 쌍방향성과 집단창작성을 효과적으로 전달시킬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위해 구술 자료의 특성 및 공공 구술아카이브의 현황과 한계를 살펴보고, 구술아카이브 기반 스토리텔링체험시스템 제안을 위한 벤치마킹 사례로 일본 오노미치시 유비쿼터스 박물관, 히스토리핀, 커뮤니티 매핑을 들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렇게 도출된 분석 내용 및 시사점을 가지고 구술 상황에서 현대 생활세계에 대한 개인적 회상과 집단의 기억을 통합적으로 살리기 위하여 장소적 전경의 가치를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구현하여 공간적 기억모델의 가능성을 실제적 서비스 체험체계로 설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한 장소스토리텔링의 실현 가능성을 새롭게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상아카이브의 구축과정에서 참여적 구술이 가능한 상황을 시론적으로 연구하였다.


This study sets out from being digital archiving in the process of archiving the features of the original oral form: collective creativity, interactivity, placeness are changed to simple information. From the fact that existing archive is focused on preservation of collection and efficient information access for users, it aims to develop measures to effectively deliver interactive and collective creativity by storytelling. For this, it analyzed the feature of Oral History Material, the current status, and limit of public oral archive. Also, an implication for storytelling experience system was planned based on oral archive via benchmarking instances; Onomichi Ubiquitous Museum, Historypin, Community mapping. By using it, we were to implement value of landscape based on the digital map for making an integrated recollection of personal memories about modern life orally. Then, realistic possibility of spatial storytelling based on digital map in this process was newly reviewed. Finally, through the results, possibility of participatory oral statement was studied as introductory study in the process of contructing archives of everyda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