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06년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학생 및 30세 이상 성인 집단의 경제관, 일과 직업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 등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한국의 대학생들은 경제의식 측면에서 기성세대에 비 해 상대적으로 강한 자유주의적 직업 가치관을 보였다. 또한 성과 주의 보상 체계에 대해서도 반대보다 지지하는 방향의 직업 가치관 이 높았다. 일 󰠏 여가 인식과 관련하여, 예상과 달리 대학생들이 기성세대에 비해 ‘일’ 중요도를 더 높게 평가하였다. 1990년대 말 한국의 경제 위기 이후 두드러지고 있는 청년층의 고용 불안이 대학생들에게 ‘일’의 중요성에 대한 강박으로 표출된 것으로 해석된다. 직업 의무감 평가 점수는 기성세대에 비해 대학생이 의미 있게 낮아 의무로서의 직업의식은 우리 사회에서 경향적으로 약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젊은 세대일수록 수단으로서 직업을 사고하는 외재적 가치 지향이 상대적으로 강함을 시사한다. 직장에서의 평생근속 의지는 예상했던 것만큼 높지는 않았다. 또 한 예상 외로 기성세대보다 대학생들이 직업생활의 성공 요소로 학 연이나 지연의 중요성을 더 높이 평가하였다. 전공과 희망 직업 간의 일치도는 비교적 높았으며, 취업 희망직 장은 임금 수준과 고용 안정성이 높은 공공 부문, 대기업이 압도적 이었다. 이는 한국의 대학생들이 현실적이고 실리적으로 자신의 미 래 직업을 설계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직업윤리 덕목 측면에서, 기성세대가 정직이나 청렴과 같은 도덕 적 가치를 중시한 반면, 대학생은 상대적으로 창의 및 자발성과 같 은 혁신 지향적 가치를 중시하였다. 신세대 대학생들이 미래 우리 사회의 주역이 될 때 한국의 직업세계는 경쟁과 성과가 중시되는 역동적인 모습을 보이겠지만, 공동체적인 응집성과 연대의식은 약 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economic values, consciousness on work and leisure, and occupational ethic of Korean college students, using a national survey data obtained by KRIVET in 2006. The Korean college students showed economically liberal attitudes more than the old generation did. They preferred also performancebased wage system. The college students considered work more important than leisure. It seems that the labor market flexibility since 1997 impacts the work consciousness of the Korean college students. The obligatory job consciousness was relatively weak among college students, which implies the external value orientation toward job. The long-term job stay willingness in an organization was not so much high as expected, which represents the unstable labor market situation. The consistency between the students’ majors and their wanted-jobs was comparatively high. They also wanted to get jobs mostly in the public sector, or large companies, which provides good salary and employment stability. With regard to the virtues of work ethic, the Korean college students considered creativity and spontaneity more important than the old generation did. The future Korean society will be characterized by dynamism, competition, and performance, while the social consolidation will be weakened.


This paper deals with the economic values, consciousness on work and leisure, and occupational ethic of Korean college students, using a national survey data obtained by KRIVET in 2006. The Korean college students showed economically liberal attitudes more than the old generation did. They preferred also performancebased wage system. The college students considered work more important than leisure. It seems that the labor market flexibility since 1997 impacts the work consciousness of the Korean college students. The obligatory job consciousness was relatively weak among college students, which implies the external value orientation toward job. The long-term job stay willingness in an organization was not so much high as expected, which represents the unstable labor market situation. The consistency between the students’ majors and their wanted-jobs was comparatively high. They also wanted to get jobs mostly in the public sector, or large companies, which provides good salary and employment stability. With regard to the virtues of work ethic, the Korean college students considered creativity and spontaneity more important than the old generation did. The future Korean society will be characterized by dynamism, competition, and performance, while the social consolidation will be weake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