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대학이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가톨릭대학교의 이념을 확인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실천적인 반성을 수행하는 데에 있다. 본론에서는 첫째로, ‘가톨릭 인본주의’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시도하고 있다. 즉, ‘가톨릭 인본주의’는 전통적인 성서적-그리스도교적 인본사상이 가톨릭적인 지반 위에서르네상스 인본주의의 특질들을 수용하면서 형성된 사조라고 규정될 수 있다. ‘하느님의 모상에 따라 창조된 인간’이라는 성서적 인간이해, 은총과 자연의 양립가능성, 신앙과 이성의 통합가능성, 원죄에 의해서도 온전히 훼손되지 않은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가르침 등이 가톨릭 인본주의의 ‘본래적인’ 내용들로 이해된다. 둘째로, 가톨릭대학교의 정체성과 사명은 ‘보편적 인본주의’로서의 가톨릭 인본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이 요한 바오로 2세의교황령 Ex Corde Ecclesiae(「교회의 심장부로부터」)를 통해서 제시되고 있다. 아울러 가톨릭 인본주의의 이념이 시대사조와의 대화를 거치면서 그 내용이 더욱 풍부하게 발전되고 있고, 그와 함께가톨릭대학교에 주어진 사명도 보다 실천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는점도 고찰되고 있다. 셋째로, 이 문헌에 나타난 가톨릭대학교의 정체성과 사명, 특히 사회정의의 증진이라는 시대적 사명을 우리보다 앞선 전통을 가진 국외의 가톨릭대학교들이 어떻게 이해하고또 실천해 가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들과 함께 소개하였다. 결론부에서는 이상의 실천적 반성을 통하여 국내의 가톨릭대학교들에 주어진 과제와 전망을 필자 나름대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reaffirm the roles of Catholic universities at a time when universities at home and abroad face crises, and aims to establish specific actions to fulfill those roles. This paper first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Catholic humanism.” Catholic humanism is based on traditional Catholic ideas combined with biblical-Christian humanism, and embraces renaissance humanism. By nature, Catholic humanism is thought to include the biblical understanding of humans that imitates the image of God, the compatibility of grace and natur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of faith and reason, and human free will that cannot be restricted even by original sin. Second, it is suggested that the identities and missions of Catholic universities are based on Catholic humanism as universal humanism as Pope John Paul II’s “Ex Corde Ecclesiae” suggested. In addition,Catholic humanism has been enriched through active interactions with the trends of each era, and accordingly, the missions of Catholic universities have become more practical. Third, this paper introduces how overseas Catholic universities have traditionally understood and implemented their identities and missions, particularly social justice which is the mission of Catholic universities in this era. In the conclusion, the writer presents the challenges and prospects faced by Korean Catholic univers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