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행정학 분야에서 소수자 집단에 관한 연구는 소수자 문제의 해결이라는 현실적 이유에서나 소수자 연구영역의 이론 구성의 측면에서 매우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국내의 소수자 연구는 주로 사회학자들에 의해 사회운동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바, 행정학 분야에서 이를 더욱 확장하여 소수자 정책의 형성과 변동에 관한 정책 정보를 산출할 경우 그 연구 결과가 소수자 정책 실무와 소수자 정책 이론의 형성에 기여하는 바가 적지 않다하겠다. 최근 행정학 분야에서 부분적으로 몇몇 소수자 집단에 대한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기존 정책 이론 적용을 위한 사례로 선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소수자 연구로서 정체성을 살린 연구가 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행정학 분야에서 소수자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정책과정별로 어떠한 이론적 관점에서 소수자 문제를 연구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소수자의 정체성 규명, 소수자의 유형화, 소수자 연구 영역 및 사례의 개발, 소수자 정책 변동 과정을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연구 관점을 고찰하였다.


Recent minority groups in Korea show somewhat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ose of traditional minority groups. From the homeless, the disabled to the north-korean escapers, homosexual groups, foreign workers and spouses, there happened drastic changes in Korean minority communities. Several academic seminars about minority movement in Kore were held in sociology and anthropology communities. However recent minority policy issues are seldom discussed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sectors as well as sociology sectors. At this point,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issues of minority policy in Korea in terms of minority identities, minority typology, minority policy research framework, minority case study, and minority policy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