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어떠한 성격적 요인이 혁신행동의 동인으로 작용하며, 이 과정에 조직 구성원들의 신뢰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309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Big-Five Model에서 제시하는 개인의 다섯 가지 성격요인 중에 개방성, 성실성 및 안정성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개방성과 성실성은 구성원들의 조직신뢰에 그리고 개방성, 성실성 및 친화성은 상사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밖에도 조직신뢰와 상사신뢰는 구성원의 개방성 및 성실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조직신뢰와 상사신뢰가 개방적이며 성실한 구성원들로 하여금 혁신행동을 하도록 매개하는 심리적 기재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성원들의 혁신행동 활성화를 통한 조직혁신을 위해서는 구성원들로부터 상사들뿐만 아니라 조직의 신뢰축적이 선행되어야 함을 본 연구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acts of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on the innovation behavior in a public organization. Also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Innovation behavior. For this study, 309 public official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data, Among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are the casual factors of innovation behavior. Personality dimensions also influence individual organization trust level. The openness to experience was confirmed as the casual factor of organization trust and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and agreeableness were confirmed as the casual factor of manager trust.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 trust and manager trust play the role of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dimensions and innovation behavior. It indicate that the trust level play the role of internal motivator for the innovation behavior. Therefor it is important to accumulate the trust in the organizations for the continual innovation through the individual innovation behavior in the organizations. This study shows that without the accumulation of trust in the organization, the sustainable innovation through the members is im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