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자원봉사 활동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웃과 함께하는 이타적 행위이지만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행복 및 건강 증진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사회 및 집단 적응력 제고에도 유용하다. 나아가 자원봉사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등의 영향은 청소년비행의 예방을 포함한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 조성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더불어 자원봉사의 경제 유발 효과도 상당하다. 이러한 자원봉사 활동의 최고 거점기관이며 자원봉사 활성화의 중추기관인 자원봉사센터는 전국의 시·도와 대부분의 시·군·구에 모두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설립 된지도 15년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센터의 정체성과 고유 업무에 대한 공통된 합의나 센터 활성화의 내용과 방향에 관한 학술적 연구는 거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자원봉사센터의 활성화 분석 준거틀을 구성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3개의 근간원칙 그리고 8개의 실천원칙을 분석 준거틀로 제시할 수 있었다. 그리고 만들어진 11개의 분석 준거틀을 부산의 시센터와 16개의 구·군 센터에 실험적으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부산의 자원봉사센터는 이러한 원칙들을 지키면서 사업수행을 하기에는 너무나 열악한 환경임이 입증되었다.


Today in Korea, volunteer centers, which play a role of headquarters of volunteer activities and their activation, exist in every metropolitan city and in most small cities. Fifteen years have already passed since the first volunteer center was established and its number is up to 248 now. Despite it's a quite long history, it's true that few academic researches, which are about activation of volunteer centers, are avaliable and common agreements about its working fields are not clearly defined. Objective evaluations that are essential to secure volunteer centers' specialty and transparency are not also done ye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ims at formulating analysis frameworks to activate volunteer centers. The frameworks consist of one the three basic principles and eight sub ones. The eleven analysis frameworks were applied to the volunteer centers in Busan and 16 other cities at first.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application show that all the volunteer centers in Busan are not sustainable enough to carry out their works keeping the 11 princi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