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바람직한 한국 정당유형을 둘러싼 대중정당론과 원내정당론의 논쟁은 한국 정당 내지는 정치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논쟁으로 보이는데 잘못하면 서로를 오해하거나 불필요한 소모전을 벌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각각의 개념과 논리, 비판과 반박 등을 제대로 정리해 보고 한국정치에서 이 논쟁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원내정당론은 정당을 약화시키는 엘리트정당, 선거전문가정당 모델이란 비판을 받고 있고 대중정당론은 산업사회의 이념정당, 계급정당 모델이란 비판을 받고 있다. 이는 원내정당론이 정치를 생산성과 효율성의 관점에서 보고 있는 반면 대중정당론은 민주성과 이익대표성의 관점에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두 이론은 자신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유권자정당론과 새로운 대중정당론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성을 강조하는 보수정당은 유권자정당으로, 민주성을 강조하는 진보정당은 새로운 대중정당으로 각자의 지향을 정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arliamentary party model has been criticized because it is virtually the elite party model and the electoral professional party model, whereas the mass party model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the ideological party model and the class party model. That is because the parliamentary party model sees politics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efficiency, whereas the mass party model see it in terms of democracy and representation. To overcome their weaknesses, two theories propose the party of the electorate model and the new mass party model. Therefore, the conservative parties that emphasize efficiency may aim to be the party of the electorate model, whereas the progressive parties that emphasize democracy may aim to be the new mass par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