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고령자가 사회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는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한국형 고령친화도시점검척도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가 WHO의 고령친화도시 8대 분야를 원용함으로써 나타나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노인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노인이 친근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최저기준선(baseline) 점검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고령친화도시 측정도구를 면밀히 분석하고, 측정도구의 대안으로 한국형 고령친화도시점검척도를 새롭게 제시하면서 그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고령친화도시점검척도의 요인구조를 개발하였다. 둘째, 요인구조의 경험적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모형을 수립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적합도의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하였다. 신뢰도 분석을 통해 항목 간에는 내적일관성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타당도 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렴타당도 평가 결과 고령친화도시점검척도 모두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판별타당도 평가에서는 고령친화도시점검척도 변수들 간에 동일하다는 가설을 기각함으로써 판별타당도를 확보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형 고령친화도시점검척도가 긍정적인 평가 도구로 활용을 높일 수 있음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develop the scale to measure the level of elderly friendly cities in Korea. This scale should to contribute the building an active and dynamic life for the old people in Korea. To develop the scale suitable for the cities in Korea and checking the level of elderly friendly cities, three steps were performed.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first draft scale was developed and was examined by focus group members who are social workers working in area of the elderly to construct validity. Second, a closed questionnaire was provided for 500 randomly selected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city of DaeGu. Lastly, as a result of survey, a scale of the level of elderly friendly cities was composed of 28 items that are placed in 10 sub domain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cale will be used for monitoring the criterion of the elderly friendly cities across the country, and furthermore, the scale will be used for practical use to make more comfortable and active living condition for the 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