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과 관련된 변수로 부모의 방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을 선정하였으며, 이 중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이 부모의 방임과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모형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방임,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과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 간 인과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을 제외한 다른 변수들은 휴대전화 의존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임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방임과 사회적 위축과의 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방임과 휴대전화 의존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복지 관련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odel in which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was expected to be mediated by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A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KCYP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neglect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have effects on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Second, parental neglect was found to have effects on self-esteem. Parental neglect was also found to have effects on social withdrawal. Finally,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 of parental neglect and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However social withdrawal was not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 of them.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to decreasing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were m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