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강점기반의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P시의 중학교 3학년 예비 특성화 고등학교 입학을 앞둔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홍보하여 참가를 희망하는 학생 36명을 모집하였다.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각 8-9명씩 총 4개 집단과 인근 지역 중학교의 예비 특성화고등학생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에는 강점기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주 1회 90분씩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도구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긍정성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동질성검증과 실험집단 사전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동질성검증 결과 두 집단은 서로 동질한 집단으로 확인되었으며 사전사후 비교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긍정성 모두 실험 집단의 경우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예비 고등학교에 대한 진로프로그램 지원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질적․양적 확대를 모색하고자 하는 제언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develop, apply, and examine the effects of the strength-based career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self-efficiency of middle school third grade students in determining their career path as they plan to go to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s. This study recruited 36 middle school third grade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attend to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s in March of the following year. Those students are from the middle schools in the city of P, where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is applied. The students heard about this study from advertisements and they volunteered to participate. This program consisted a total of four test groups with 8-9 subjects per group and one control group with 15 students. The four test groups participated 90 minute strength-based career counseling lectures once every week for 10 time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is study used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positivity index for the measurement and conducted the homogeneity test and pre-and post-evaluations on the test groups. The result of the homogeneity test showed that both groups are identical and in all the positivity and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making evaluations of the test groups conducted prior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ies and quantities of the support for prospectiv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counseling programs and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