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유권자들 사이에 계급의식과 계급투표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어떠한 양태로 존재하고, 그리고 왜 그렇게 존재하는지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논문의 문제의식은 ‘계급정당부재론’이나 ‘계급균열부재 불가피론’과는 달리 한국사회에서도 사회경제적인 상황의 변화와 시민사회의 성숙에 따라 계급투표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방법론적인 문제의식으로는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계급에 대한 측정자가한국적 현실에 적절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논문은 최근 십 수년간의사회경제적인 변화에 주목하면서, 계급의 주요 측정자로서 재산 정도를 분석모형에 포함하여 계급의식과 계급투표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였다. 분석의 주요 발견은 재산이 소득만족이나 공정분배 및 빈부격차와 같은 유권자의 분배의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시장개방, 기업규제 반대, 세금인하와 같은 경제적이슈와 복지확대, 무상급식 및 사회적 약자보호와 같은 사회적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재산은 정당 혹은 후보지지에는 간헐적으로만 영향을 미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권자들 사이에 계급의식이 증대되고 있으나 계급투표로까지 진전되고 있지 못하다는 본 연구의 발견은 정당이 동원전략을 변경하여야 할 시점에 와 있음을 조심스럽게 시사한다. 또한 학문적인 측면에서 논문은 계급조건의 측정자로서 재산 변수를 사용할 것과 일차적인 계급의식으로서 분배의식을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examines effects of individuals’ net-property upon political orientations and attitudes by analysing the national survey data compiled in 2011.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individuals’ property strongly affects attitudes toward issues of income satisfaction, distributive justice, and income inequality. It also has significant effects on other social and economic attitudes such as free market, business regulation, tax reduction, welfare expansion and protection of the underprivileged. One’s property, however, has little effects on party or candidate suppor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lass consciousness does exist in Korean society, contrary to the previous studies that has found little such evidence based on analyses of income and occupation effects upon attitudes. Absence of class voting may be attributed to the lack of class mobilization effects by major political parties. This paper proposes to future class studies in Korea to include property when measuring one’s class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