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2014년 제6회 지방선거를 사례로 영호남출신 유권자들의 거주지 이전에 따른 정당선호와 투표성향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KSDC)의 지방선거후 여론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영호남출신 유권자들이 타지로 이주할 경우 각각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에 대한 선호와 투표 가능성이 과연 그리고 얼마나 완화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 연구는 영호남출신 유권자들이 타지에 거주할 경우 양대정당에 대한 선호도 격차와 정당편향적 투표성향이 완화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이 연구는 이주에 따른 양대지역정당에 대한 선호도 격차의 감소폭은 영남출신 유권자들보다 호남출신 유권자들에게서 더 크게 나타나지만, 이들에 대한 투표가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은 영남출신에게서만 나타난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이 연구는 거주지 이전이 영호남출신 유권자들의 지역정당에 대한 선호와 투표결정에 미친 영향 사이에는 상당한 ‘불균형(disparity)’이 존재하며 ‘지역주의적 투표’의 완화를 통해 합리적인 정치적 시민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유권자들의 요구와 의지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해법이 모색되어야한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impact of changing a citizen’s residential area on both partisan preferences and voting decisions of Youngnam-born and Honam-born voters in the 2014 regional election of South Korea. Analyzing the post-election survey data of the KSDC, it examines whether and how the strong partisan preferences and the “regional voting” of Youngnam-born and Honam-born voters for the Saenuri Party and the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two regional parties of Korea, have waned when they move to other regions. Test results show that a notable “residential movement effect” (RVE) exists. More interestingly, this study shows that Honam-born voters have a stronger RVE on their partisan preference, but a weaker RVE on regional voting than Youngnam-born vot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sparity between movement effects on the party preference and on voting decision implies that institutional design to avoid distorting voter preferences is required for promoting rational political citizenship through the weakening of regional vo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