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직침묵은 조직의 발전을 저해하는 행동으로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국과 같은 집단주의 문화권에서는 더욱 큰 의의가 있다. 조직침묵은 여러 경로를 통해 발생하지만 본 연구는 상사와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조직침묵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상사의 체면손상 행동이 부하의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피고자 하였다. 아울러 두 변수 간 관계를 매개해주는 변수로 상호작용 불공정성을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광주와 전남 지역 6개 제조업체에 종사하는 310명의 종업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실증연구결과에 의하면, 상사의 체면손상행동은 부하의 상호작용 불공정성 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하의 상호작용 불공정성 지각은 조직침묵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상호작용 불공정성 지각은 체면손상행동과 조직침묵 간의 관계에서 유의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이론적 및 실무적 측면에서 충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연구상의 한계점과 더불어 향후 연구과제도 제시하였다.


Although researchers have recently paid increasing attention to organizational silenc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hat examines the negative outcomes of organizational silence. In this study, we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threatening behavior by supervisors and organizational silence. The mediating role of interactional injustice of subordinates between threatening behaviors of supervisors and organizational silence was also tested. Based on related theory and literature review,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tested. Participants were 310 employees of six manufacturing firms. Statistic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as hypothesized, face- threatening actions of supervisor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ubordinates' sense of interactional injustice, which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organizational silence. In particular, the mediating roles between supervisor's face-threatening behavior and organizational silence were also supported.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