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문화의 중요성에 집중하면서 지역문화브랜딩 프로세스 모델의 개발을 시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차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지역문화브랜딩의 주요개념 제시, 지역문화브랜드 수용(Perception) 진단 모델 소개, 그리고 지역문화커뮤니케이션의 전략 제시. 이 프로세스 모델은 어떻게 다양한 지역들이 문화브랜딩을 통하여 정체성을 세우고 지역이미지를 관리할 수 있는지 그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모델을 활용하여 호남의 연구콘텐츠 분석, 호남의 문화콘텐츠 분석 그리고 호남의 공간콘텐츠 분석을 기반으로 한 호남이라는 광범위한 지역공간의 문화브랜딩을 시도해보았다. 이런 시도는 어떻게 지역브랜드가 지역의 다채로운 문화콘텐츠 활용을 통해 ‘문화브랜딩’을 구현할 수 있는지 그 범례를 보여준다. 즉, 본고는 이런 연구과정을 통해 또 하나의 유용한 지역문화브랜딩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of regional culture content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the regional culture branding process model. In order to develop this process model, at first, this research conducted three stages of work: presentation of core concepts for regional culture branding, development perception diagnosis model for regional culture brands and proposition of regional culture communication strategy. This process model indicated theoretical foundations on how diverse regions could be established and managed through cultural branding. Thus this model applied in the Honam area’s case which are composed of Honam’s research contents’ analysis, Honam’s culture contents’ analysis and Honam’s space contents’ analysis. This case study arrived to show how regional brand make the ‘cultural branding’ by using various culture contents in the region. Finally, based on our study findings, we intended to suggest some practical process model for regional culture bra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