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우선 이미지, 상상력, 스토리를 중요시하는 포스트모던 시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 접목된 ‘디지로그북(digilog book)’의 특성을 고찰하고 ‘팝업북(popup book)’과 비교하여 시대와 매체를 관통하는 상상력의 힘을 재고하는데 있다. 기술 문명의 발전에 따라 의사소통과 정보 전달을 위한 매체는 지속적으로 변모해왔지만, 이제 종이책의 미래는 전자책의 등장으로 야기된 불안감과 더불어 자주 비관적으로 거론된다. 심지어 문자 텍스트의 비중을 그림 텍스트의 상위에 두던 근세 이후의 종이책의 관습은 21세기 들어 ‘비가시적인 것을 가시적으로 만들어 주는’ 영상매체의 발전으로 그 경계마저 허물어지고 위상마저 흔들리고 있다. 특히 전자 공간에서의 스토리텔링은 ‘글을 그림으로(words into pictures)’까지 재현하는 방식을 띠기에, 전통적으로 어린 독자의 가독성을 고려하여 글보다는 그림을 통해 내용을 전달하는 그림책이야말로 향후 ‘디지로그북’의 원천 콘텐츠로서 호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 필자는 글과 그림의 상호중재를 통해 제3의 텍스트를 구축하는 그림책의 특징을 기본적으로 갖고 있으면서도, 콘텐츠를 지면(紙面) 위에서 입체적으로 구현해낸 ‘팝업북(popup book)’의 오랜 상상력이 증강 현실 기술과의 접목을 통한 미래형 그림책 ‘디지로그북’에서도 도서(圖書) 내부의 콘텐츠를 전자공간․가상공간으로 연장하는 방식에 면면히 흐르고 있음을 알아보고, 나아가 ‘홀로그램 북(hologram book)’으로의 발전 전망을 살펴볼 것이다.


The 1st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traits of ‘digilog books’ linked to the new technologies of augmented reality in the post-modern era when the images, imaginations, the stories are being thought highly of. And the 2nd purpose of the paper is to reveal the resources of the imaginations enabling the new high technologies in ‘digilog books’ originally lie on the ‘pop-up books’. Although the media for communication has incessantly developed along with the humane civilization, the future of the paper books which have been highly cultivated ever since the massive printing had been invented is regarded with a pessimistic prediction nowadays after the advent of the ‘e-books’ & ‘digilog books’. However the traditional thought which placed the written texts above the pictorial texts after the modern ages has pulled down the boarder in between, and the two rank relations have even turned over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mass reflex media making the invisibles tangible. The storytelling in the electronic space particularly tends to represent the words into pictures feasibly, In this, the picture books conventionally have conveyed the contents through the picture texts rather than the words with the concern of the child readers’ legibility are more likely to be called first as the origianl sources of the ‘digilog book’ making. In this paper, the subsistent features of which the word and picture text consists of the 3rd text through the mutual mediation are regarded as the quite resembled factors in the future ‘digilog books’ where the contents extends beyond the paper outwards. Many of this paper are served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of the imaginations between the ‘popup books’ from the medieval ages and its acculturation in the new ‘digilog books’ combined with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