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손 안의 모바일로 전 세계의 소식을 접할 수 있고, 빠른 속도로 세계를 이동할 수 있는 현대인은 이제 지구라는 하나의 운명 공동체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미국의 경제적 패권주의의 세계화가 아닌 지역의 문화가 세계 문화로 소통할 수 있는 글로컬 문화의 시대가 도래 한 현재, 한국의 정부는 한국음식을 세계화하려는 정책을 주도적으로 선도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음식 세계화의 궁극적인 목적은 한국음식을 통한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는 것인지 아니면 한국음식을 통하여 세계와 문화로 소통하는 것인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논의하기 이전에 한국인은 음식을 산업으로 보는지 문화로 보는지의 문제가 제기된다. 오천년 역사를 간직한 민족음식인 한식은 발효음식이 발달된 건강식으로 음양오행의 우주적 섭리를 품고 있는 문화적 유산이다. 한식 세계화의 논의에 앞서 이러한 사실에 대한 인식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식의 세계화는 각 지역의 문화와 한식이 만나는 접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문화 소통의 장임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그동안 한식에 대한 논의는 한국인의 관점에서 한국이라는 지역적 범위와 한국전통을 근거로 한 전제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한식의 세계화가 현안인 상황에서 한식에 대한 논의는 각기 다른 문화와 지역에 맞는 방법을 고려하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음식이 현지화한 사례들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하고 그 과정에 각기 다른 문화와 어떤 방향성을 갖고 어떻게 결합하였는지에 대한 면밀한 조사 연구를 필히 수반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글로컬 문화시대에 한식 세계화가 가야하는 방향이고, 세계인이 즐기는 한식으로 자리 잡게 하는 주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Summary: As modern, we can collect information around the world through a mobile phone within a hand. Also we can move all over the world such a fast speed that now, we are living in the earth, which means groups sharing a common destiny. The current circumstance is Glocal culture age, which does not mean globalization of American capital hegemonism, but stands for local culture can communicate as a world culture. According to this atmosphere, Korean government has taken the lead in carrying out the policy: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f so,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project is that Korea wants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Korean food or it dreams about dominating the world through its food? Before we go on the matter, there is issue raised whether Korean consider their food part of industry or culture. Korean Food what we call food including national characteristics has history of five thousand years. We can say Korean food is cultural heritage, because Korean people has believed that the concept of Korean food is derived from cosmic nature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as well as healthy dishes made of fermented way. We should have recognition about the fact before we start to debate about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n addition, it makes possible in the spot that each local culture and Korean food cross-over, so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can say each culture’s communication with that of Korea. What we have discussed on Korean food so far was based on the assumption of local tradition from the aspect of Korean. From now on, the debate over Korean food should inspect localized cases matching each area’s traits. During the process, there should definitely need close research that how each different culture has its own direction and has combination with others. And we should be try to combinate Korean food with cultural contents. This is the way of Korean food’s globalization goes in glocal age and it is going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Korean food gets settled as enjoyable food among citizens of the world.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Glocal culture, Korean food, Korean food’s globalization, definition of Korean food, goc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