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자전적 영화는 감독 자신이 ‘나’를 주인공으로 해서 만들어 나가는 영화다. ‘나’를주인공으로 영화를 만든다는 것은 허구적인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영화를 만드는것과는 다른 접근 방식이 요구된다.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나’라는 존재는 상상으로만 만들어낸 허구적인 캐릭터와는 전혀 다른 삶을 살아가고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문학에서 ‘나’를 주인공으로 글쓰기를 하는 자서전이라는 양식에서 종종 볼 수있는 것처럼 자기 성찰에 대한 긴장 없이 완성된 자서전은 작가 스스로를 영웅화시키거나 신화화시키는 문제를 낳는다. 그러므로 ‘나’를 영화나 문학 등의 예술적 양식으로 재현하기 위해서는 ‘나’라는 존재에 대한 성찰적 태도가 반드시 요구된다. ‘나’를 텍스트 삼으면서도 동시에 ‘나’를 신화화하지 않기 위해서 몇몇 작가들은 전통적자서전이 요구하는 규약과는 다른 방식으로 ‘나’를 성찰하는 텍스트를 만들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텍스트 중에서 데릭 저먼 감독의 자전적 영화 「블루」를 통해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진 ‘자전적 영화’의 가능성에 대해 질문해 보려고 한다. 저먼의 자전적 영화 「블루」는 저먼의 모습이 전혀 등장하지 않는 이상한 영화다. 저먼은 죽어가는 ‘나’, 그리고 시력이 상실되어 앞이 보이지 않는 ‘나’의 존재와 진실을 재현하기 위해 독특하고 실험적인 내러티브와 이미지, 그리고 사운드를 만들어나간다. 이를 위해 저먼이 선택한 이미지와 사운드는 불투명하고, 파편적이고, 불연속적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영화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제작된 「블루」의 내러티브와 이미지, 그리고 사운드의 의미망들을 논의해 나가며, 저먼이 고민한 ‘나’에대한 성찰적 태도를 살펴보려고 한다. 나아가서 저먼의 자기 성찰적 태도로 만들어진 자전적 영화 「블루」가 ‘영화’라는 매체 자체를 성찰하는데까지 나아가고 있음을논의할 것이다.


Representing an ‘I’ in a autobiographical film requires a completely different method ofreflection from that for representing a fictional character in general. It is because therepresentation of an ‘I’ entails ontological questions on the truth and the essence of ‘I’portrayed in the film. Conventional films tend to have the problem of mythicizing actualpeople in terms of both the narrative and the visual illusionism. The main characters and theplot of these films are reconstructed in the same method of Hollywood-style melodramas. Conventional autobiographical films which may be thus interpreted as melodramas areenhanced illusionary by cinematic visuality and represent actual person ‘I’ as if they wereheroic or tragic protagonists in melodramas. Therefore, self-reflexivity on representing ‘I’ becomes a matter of ethical andphilosophical reflection. To represent the truth of ‘I’, autobiographical film requiresself-reflection as well as cinematic reflection to represent ‘I’ in films, and therefore oftendemand even greater creativity than films with fictional characters. In this thesis, autobiographical film, Derek Jarman’s 「BLUE」 will be examined in termsof three categories, the narrative and the image and the sound, in search for reflectiverepresentation of ‘I’ in cinema. To sum up,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self-reflectiverepresentation in autobiographical film, Derek Jarman’s 「B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