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 인 러브>라는 비극 기반의 영화와 <라따뚜이>라는 코미디애니메이션이 어떤 인지 감성적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인지 서사를 분석하는 것이일차적 목표이다. 첫째로 도입-전개-발단-위기-절정(반전)-결말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의 스토리 구조에서, 비극에서는 어느 정도의 연민과 공포가 증폭되는지, 반면 희극에서는 유머와 풍자가 얼마나 패턴화 되는 가 등의 양적 데이터를스토리 변화의 흐름에 따라 총합하여 비교 분석의 틀로 삼았다. 두 번째로 위의데이터가 인지 서사학자 보드웰의 원형스키마, 주형스키마, 절차스키마 등의 흐름에따라 X, Y, Z 축을 중심으로 인물들의 행위가 야기하는 연민, 공포, 그리고 유머와풍자 등의 희/비극의 시청자 감성 인지 요소가 얼마나 드라마틱 아크의 구조와 일치하는 지를 비주얼화 하여 분석해 봄으로써, 장르의 시학을 논한 아리스토텔레스이론과 보드웰의 인지 서사 이론 사이의 스키마적 일체감이 있음을 과학적으로 검증한 셈이다. 이때 필자의 기본 가설인 스토리텔링 아키텍처는 주제를 드러내는 작가의글쓰기 ‘의도’가 시청자의 감성 반응에 얼마나 일치하는 지를 검증하였다. 즉 작가의의도는 스토리텔링에 해당하는 시공간 상의 작품 인물들 간의 ‘행동-생각’ 사이의교차점에서 얼마나 시청자의 감성적인 흐름과 고저, 즉 비통, 슬픔, 웃음과 해학의행동이 연민과 공포, 유머와 풍자의 인지 정서를 스키마적으로 패턴화 하면서 작가의 주제 의도가 전달되는 지를 세 번쩨로 검증하고 확인하였다. 결국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 인 러브> 영화와 애니메이션 <라따뚜이>를 분석하면서, 작가가 글쓰기를 하는 과정과 시청자가 작품을 이해하는 과정을 기존의 플롯이론이나 스토리로 파악하지 않고, 작품 감상의 인지 알고리즘을 패턴화하는 과정으로 보고, 그것을 스토리텔링 아키텍처라는 과학적, 공학적 개념으로 정의했다. 이스토리텔링 아키텍처라는 서사 인지 스키마를 양적인 데이터로 검증하고, 그 인지감성의 패턴을 찾아서 비주얼로 검증하면서 인문학적 서사 이론과 인지과학의 과학적 분석이 일치됨을 증명하였다. 인문학과 과학의 융합점을 찾아 시도한 셈이다.


This paper would not aesthetically argue the poetics of tragedy or comedy, but statistically analyse and visualize the emotionally cognitive narrative schema in Shakespeare in Love and Ratatouille. I attempted to focalize David Bordwell’s cognitive film theory including prototype, template, and procedure schemata in order develop and represent a complex storytelling architecture in which the readers can build some emotions and cognitions as they follow the storyline intertwined between writer’s intention toward a theme and the characters’ ‘action-idea’ with a setting of time and space. This paper showed three charts of storytelling architecture such as 1) the relative structure between Aristotle’s dramatic arc and the flow of emotion and cognition in storyline, 2) Aristotle’s plot structur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writer’s intention along with character’s assumption based on ‘action-idea’, and 3)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er’s schematized narrative emotional cognition and the theory of Bordwell’s the prototype, template, and procedure schemata. This paper is developing theories of narrative schema with a tragedy versus a comedy. Through Shakespeare in Love and Ratatouille, this paper attempted to describe the knowledge-representations in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and the culture code which examine how readers develop an cognitive emotion such as pity and fear, and/or humor and satire of the cognitive mapping in the narrative schema theory. And I’ve proofed the three schemata of prototype, template, and procedure have the same pattern between the tragedy and comedy. The reason is as follows: The narrative seems to be the essential process that facilitates the integration of our personal experiences by means of coordinated action from a diverse array of brain structures and processes. Almost every brain structure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narrative construction, and thus, we may say that the human mind is, indeed, a narrative br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