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K-culture 3.0 시대에 진입하면서 이벤트 산업에도 글로벌 K-event를 위한준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K-event에 활용할 수 있는 전통문화콘텐츠를 확보하는 일이다. 그리고 그 콘텐츠는 한국문화의 원형과 미적 태도를담고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Global K-event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K-culture의 원형(archetype)을 찾고 그 미적 태도를 탐구하여 이를 실제 이벤트에 적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통문화 오브제(objects) 중 오방색, 금줄, 스토리(story) 중 주몽신화와 바리데기 신화, 온달 전설 등에 담긴 한민족의 원형성과이벤트 활용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오방색은 조화와 순환을 중시하는 한민족의 우주관을 잘 드러내는 색이다. 오방색을 이용하여 행사장 구획, 홍보물 디자인, 참가자 의상 등에서 통합이미지를 갖는등 다양한 이벤트 활용이 가능하다. 금줄은 구획과 소통의 이원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글로벌 K-event에서 열림과소통의 컨셉을 상징하면서 행사장의 구역표시나 오프닝 테이프를 대신하는 K-cultur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토리콘텐츠 가운데 주몽은 고대 한반도인에게 도전과 성취의 부성적 아키타입(Paternal Archetype)이다. 전형적 영웅스토리로 장대한 스케일과 다양한 이야기 화소를 가지고 있어 공연, 전시, 체험이벤트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 숭고하고우아하며 신비로운 미적 감동을 주는 K-event가 가능하다. 특히 남북이 함께 하는‘주몽축제’라면 그 상징성은 매우 클 것이다. 바리데기신화는 흔치 않은 국내 여성 영웅스토리이다. 그녀는 한민족에게 희생과 포용의 모성적 아키타입(maternal Archetype)이다. 불교적이면서 무속적인 세계를 배경으로 희생과 공덕의 세계관을 보여줄 수 있다면 K-event로서의 정체성과미적 성취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온달전설은 당대인의 운명개척과 신분상승 의지가 내재된 스토리이다. 비록 영웅이라고 할 수는 없으나 현실적 삶의 모델로서 온달은 한민족의 대중적 아키타입이다. 온달을 통해 현실에 패배하거나 안주하지 않고 신분을 높이며 의미 있는 존재가되고자 했던 당대인의 삶의 태도를 읽을 수 있다. 체험과 도전, 즐거움과 성취감으로프로그래밍한 에듀테인먼트형 K-event가 가능하다.


Entering the era of k-culture 3.0, the event industry needs to prepare global K-events. For thi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secure contents of traditional culture which can be used in K-event. Those contents must contain Archetype of Korea culture and its aesthetic attitude. This study purposes to find out the Archetype of K-culture and explore its aesthetic attitude for applying these to actual events. The Archetype of Han race containing traditional culture objects or story such as Obang Saek, Geum zool, Zoomong Myth, Baridaegi Myth and Ondal legend has been researched deeply as well as planned to apply for various events. Obang Saek is the representative color of Han race’s vision of the universe emphasizing on harmony and circulation. Obnag Saek can make various way of event operation possible. For example, integrated image is available in venue compartment, promotional material design or participant costume. Keum Zool has dual structure of the division and communication. While symbolizing the openness and concept of communication in global K-event, Keum zool can also function as an indication of district or opening tape. Another story contents, Zoomong, is a Paternal Archetype of challenges and accomplishment in ancient Han peninsula people. Zommong has typically grand scale story of hero and of diverse narrative elements, which can be practically used in performances, exhibitions, or experience events. That will make K-event more noble, elegant and full of mythological impression. Especially if two Koreas(South and North) could participate in Zoomong festival, it would be symbolic and meaningful. Baridaegi legend is a rare story of female hero in domestic. She was a maternal Archetype of sacrifice and magnanimity among ancient Han people. Identity and aesthetic achievement could be accomplished, if it could show sacrifice and good deeds under the background of Buddism and shamanism. Ondal story contains will of carving out destiny and going up into the higher lever of social status in those days. Even if he was not a hero, Ondal was a popular archetype of Han race as a model of realistic life. Through the Ondal story, We can read an attitude of people who tried not to be defeated or satisfied with the circumstance given to them, but sincerely endeavored to go upward and to be important beings in the status. The edutainment type of K-event would be possible if it is only programed with a experience and challenge, funny and feel of accomp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