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민병훈의 첫 장편연출작인 <벌이 날다>의 심미적 측면을 밝히기 위해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을 행한다. 먼저, 결정적 순간에 등장하는 롱테이크 쇼트안에 담긴 ‘영화적 리듬’과 그로부터 파생하는 ‘시적 정서의 형성’에 대해 논의한다. 그 다음으로는, ‘시적 정서의 연결’을 이끌어내는 특유의 알레고리(Allegory)에 대해 언급한다. 심층적 분석을 위해 타르코프스키의 자전적 영화예술론에 해당하는『봉인된 시간』과 벤야민의 알레고리론을 엿볼 수 있는 『독일 비애극의 원천』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벌이 날다>의 롱테이크 쇼트들은 독특한 ‘영화적 리듬’을 보여주었다. 기능적인 면에서는, 우선적으로 주피사체인 인물의 내면에 대한 정보를 주고, 주변인물과의 관계망을 환기시켰다. 더 중요한 것은, 인과적 논리로 환원되지 않는 직관적인 정조를 이끌어내면서 ‘시적 정서의 형성’에 기여한다는 사실이다. 한편, <벌이 날다>의 시적 정서는 삽화식 구성을 통해 형식적․내용적으로 연결되었으며 벤야민식 알레고리를 환기시켰다. 예컨대, ‘장군과 벌에 관한 우화’와 ‘동화같은 아노르의 현실 이야기’는 유의미하게 중첩되면서 벤야민식 알레고리의 일면을보여주었다. 덧붙여, <벌이 날다>의 리얼리즘적 연출, 혹은 다큐멘터리적 개성은영화의 메시지를 시대적 맥락과의 조응을 거쳐 읽어내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형식적 특성도 <벌이 날다>의 시적 정서가 연결되는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보인다. 이 글을 경유해 실제 가치에 비해 조명을 받지 못한 소규모 독립영화, 예술영화에대한 학술적 관심이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aesthetic aspect of Min Byeong-hun’s first novel <The Bee Flies> from the two perspectives. First, it discusses the ‘formation of the poetic emotion’ shown at the long-take shot at the crucial moment and the ‘cinematic rhythm’ driven from it. And it mentioned the unique Allegory that elicits the ‘connection of the poetic emotion’. For in –depth analysis, It adop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ealed Time』 pertaining Andrey Tarkovskiy‘s autobiographical theory of the art of the cinema and 『The Origin of German Tragic Drama』 showing Walter Benjamin’s theory of Allegory The analysis of <The Bee Flies> long-take shots exhibited a peculiar ‘cinematic rhythm’. In functional terms, it first gave information about the main character’s inner side and aroused the relational net with the surrounding characters. Mostly, it contributed the ‘formation of poetic emotion’ through leading intuitive emotional flow not from the cause and result logic. Also, the poetic emotion of <The Bee Flies> connected the form and content through its illustration composition style and aroused Benjanmin’s Allegory. As an example, ‘Fable on the General and the Bee’ and ‘A Story on the Fairy-tale Reality of Anor’ are overlapped significantly and exhibited a part of Benjanmin’s Allegory. In addition, the realistic directing or documentary characteristic of the movie <The Bee Flies> is to induce the message through the correspondence and context of the time This formal characteristic also seems to be an important effect to connect the process of the poetic emotion of <The Bee Fl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academic interests in unilluminated small-scale independent movies and artistic movies that are underestimated from their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