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오늘날과 같은 위기의 사회에 응전할 수 있는 대안적 사회모델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불교가 어떠한 모종의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인지를 논의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사회문제를 보는 시각’을 중심으로 기존의 사회과학적 시각과 불교적 시각을 비교한 다음, 사회문제에 접근하는 불교적 시각의 발전 가능성을 논의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발견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과학적 시각은 인간의 외적 조건을 해명하는데 장점을 지니고 있는 반면 불교적 시각은 인간 자신의 마음을 통해 사회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바로 그러한 점에서 사회문제를 보는 불교적 시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수반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1) 불교는 탐욕, 증오, 이기심 등을 사회문제의 근본적 원인으로 간주하고 있다. (2) 불교는 범죄, 중독, 폭력과 테러, 그리고 빈곤을 주요 사회문제로 간주하고 있다. (3) 사회문제의 해결방법과 관련하여 불교는, 외적·강제적 통제보다는, 연기법에 대한 체득과 그 결과로 나타나는 인간 자신의 윤리적 성숙을 통해 자발적 통제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불교적 시각은 이론적 차원에서 개인화 테제에 기초한 위험사회론을 뒷받침하거나 보완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근거로서의 유용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며, 실천적 차원에서는 행위자 자신의 자발적 동기에 의해 사회문제 자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ossibilities of Buddhist perspective as a alternative to social problems in modern society.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compared Buddhist perspective with typical sociological perspectives and tried to find the superiority to solve social proble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bove all, the study found that, meanwhile typical sociological perspectives have the superiority to solve social conditions of human life, Buddhist perspective has the predominance to solve the heart(or mind) of actors. Also this study found some features of Buddhist perspective attritive to its predominance. (1) Buddhist perspective regard the greed, hatred, and selfishness as causes of social problems. (2) Buddhist perspective look at crime, poisoning, violence and terror, extreme poverty as prime social problems. (3) In solving social problems, Buddhist perspective look forward to a certain voluntary and ethical control of a person oneself which is originated to effect of mind control. Thes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erspective are anticipated to supplement the theory of risk society based individualism at the theoretical side, and at the practical side those are expected to have effects to prevent against social problem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