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상캬-요가 수행론에서 본 유식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수행론 비교연구이다. 먼저 세 심리학의 수행 기본원리를 제시하고 나서 그것의 소통 점과 불통 점을 비교 연구한다. 요가심리학의 수행론의 8갈래 원리는 금계, 권계, 올바른 좌법, 호흡법, 감각철회, 집중, 명상, 삼매인데 이 가운데서 ‘집중, 명상, 삼매’가 중심이고, 더 정확하게는 마지막 삼매의 획득과 독존/해탈의 증득과정이다. 유식학의 5갈래 수행원리는 자량위, 가행위, 통달위, 수습위, 구경위인데 이 가운데 수습위가 중심이다. 그리고 융의 분석심리학의 심리치료원리의 하나로서 적극적 명상은 무의식에 초대하기, 대화와 체험, 윤리적 가치를 더하기, 물리적 의례로 구체화하기의 네 가지 접근법이다. 요가심리학의 수행론에서 보았을 때 유식학의 수행론과는 일정 정도는 소통할 수 있지만, 부분적으로 소통할 수 없는 곳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요가 심리학과 유식학은 출발점이 다르기 때문에 둘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요가심리학과 유식학의 자존적 근본 명제까지는 침범할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요가심리학의 수행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수행론/심리치료법으로서 적극적 명상법은 대부분 소통하기 힘들었다. 그 이유는 요가심리학이 내재와 초월을 동시에 가능하지만, 서양의 융의 분석심리학은 심리를 분석하는 기법을 사용하는 접근방식이 달랐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이들 세 심리학은 현대에 들어와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그것은 이들 세 심리학의 근본 기법에 토대를 둔 응용된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응용연구의 토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 treatise on discipline theory of Yogācāra psychology(唯識學) and Jung’s Analytical psychology in the discipline theory of Yoga psychology. First of all, three psychology will suggest discipline principles, and then a comparative study of points of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The discipline theory of Yoga psycholology is eight. These are yama(禁戒), niyama(勸戒), āsana(坐法), prāṇāyāma(呼吸法), pratyāhāra(感覺撤回), dhāraṇā(執中), dhyāna(冥想), samādhi(三昧)이다. We are discussing samādhi as a priority. In other words, we discuss an acquisition of samādhi and a process of great awakening of kaivlaya(獨存). A discipline Theory of Yogācāra Psychology suggests five steps/pañca avastha of sambhāra avastha(資糧位), prayoga avastha(加行位), prativedha avastha(通達位), bhāvanā avastha(修習位), aśaikṣa avastha(究竟位). Here, the fourth bhāvanā avastha(修習位) is the center of discussion. An active imagination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re four approaching methods of invitation to unconsciousness, to dialogue and participation, to add some moral values, to take shape of physical rite. When it views from a discipline theory of Yoga psychology, he can be communicated with discipline theory of Yogācāra psychology, but it seem to be difficult to communicate in many parts. For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yoga psychology and Yogācāra psychology can not be accepted until each other’s a basic proposition. Also a discipline theory of the Yoga psychology and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re almost too much to communicate. For the Yoga psychology possible transcendence and immanence at the same time, whereas Jung’s Analytical psychology different to analytical techniques with that. But both similar with same. Nevertheless, three psychology would be able to communicate such as following points. Yama, niyama, āsana of Yoga psychology the sambhāra avastha of Yogācāra psychology and the ‘to invitation to unconsciousness’ and ‘to add some moral values’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seems to be commensurate with each other. prāṇāyāma(呼吸法), pratyāhāra(感覺撤回) of Yoga psychology and prayoga avastha(加行位) of Yogācāra psycholgy seems to be commensurate with each other. the dhāraṇā(執中), dhyāna(冥想), samādhi(三昧) of Yoga psychology, prativedha avastha(通達位) and bhāvanā avastha(修習位) of Yogācāra psycholgy, and physical rite to take shape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seems to be commensurate with each other form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