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Gelatinase (MMP-2와 9)는 기저막의 주 구성요소인 type IV collagen을 분해하는 효소로, MMP-2는 간경변과 MMP-9은 간세포암의 진행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간질환과 MMP-2와 9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간기능이 정상이고 간질환이 없는 건강 대조군 10예, 만성 간염 15예, 간경변 18예, 그리고 간세포암 25예를 대상으로 혈장을 채취하여 MMP-2와 9의 활성을 보기 위해 zymography를 시행하였다. 결과: 혈장 MMP-2의 활성은 간경변군에서 건강 대조군(p=0.009)과 만성 간염군(p= 0.011)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으나 간세포암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혈장 MMP-9의 활성은 간경변군에서 건강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으나(p= 0.035), 만성 간염군과 간세포암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간세포암이 없는 간경변군 15예와 간세포암을 동반한 간경변군 23예를 합친 총 간경변군 38예에서 MMP-2의 활성은 total bilirubin이 높을수록(r=0.323, p=0.048) 그리고 Child-Pugh 점수가 높을수록(r=0.414, p=0.012) 증가되어 있었다. 총 간경변군에서 MMP-2와 MMP-9의 활성은 알코올 성 간경변군에서 HBV에 의한 간경변군 보다 현저히 증가되어 있었다(각각 p=0.009, p=0.002). 결론: 혈장 MMP-2의 활성은 간경변의 진단과 중증도에 유용한 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혈장 MMP-9의 활성은 간세포암에서의 유용성은 적으리라 생각되나 알코올성 간경변의 진단적 표지자로는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MMP-2와 MMP- 9의 활성은 간경변의 원인 별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이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Aims: Gelatinase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2 and 9)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liver cirrhosis (LC)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of gelatinase to chronic liver disease. Methods: Four groups of subjects were examined; healthy control (10 cases), chronic hepatitis (18 cases), LC (15 cases), and HCC (28 cases). The plasma of each subject was obtained, and the equal quantification of plasma protein was done. The plasma activities of MMP-2 and 9 were measured by zymography. Results: The activities of plasma MMP-2 in patients with L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ntrols (p=0.009) and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p=0.011), but not different from those in patients with HCC. The activities of plasma MMP-9 in patients with L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ntrols, but not different from those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or HCC. In patients with LC (regardless of having HCC), the activities of MMP-2 correlated with total bilirubin (r=0.323, p=0.048) and Child-Pugh score (r=0.414, p=0.012). The activities of MMP-2 and 9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LC (regardless of having HCC) caused by alcohol than caused by HBV (p=0.009 and 0.002 for each one). Conclusions: The plasma activity of MMP-2 may be a useful marker for the diagnosis and determination of the severity of LC. The plasma activity of MMP-9 was not useful for HCC, but may be a marker for alcoholic LC.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why the plasma activity of gelatinase was higher in patients with LC caused by alcohol than by HBV.(Korean J Hepatol 2003;9:222-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