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Anti-HBc 양성 환자 중 일부는 B형간염바이러스에 잠재감염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환자의 간을 이식할 경우 B형간염이 간이식편을 통해 전염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한국과 같이 anti-HBc 양성률이 높은 지역에선 이런 이식편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기증자의 간조직에서의 B형간염의 잠재감염 정도와 이식 후의 변화 양상 및 재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 4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시행한 간이식술 중 anti-HBc 양성 간이식편을 사용한 74예 중에서 이식 전후 조직표본을 얻을 수 있었던 2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포르말린에 고정한 파라핀함몰조직 절편에서 10 m 두께로 절단하여 얻은 조직으로 DNA를 추출하였고 PCR 방법으로 간 내에 B형간염 DNA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기증자 및 수여자의 이식 전후의 혈청학적 상태와 간기능검사를 같이 비교하였다. 결과: 13예에서 조직 내 B형간염 DNA가 양성으로 나왔다(46.4%). 이 중 10예(77%)에서는 이식 후 조직 내 HBV DNA가 제거되었고, 3예에선 유지되었으며, 1예에서는 음성에서 양성으로 변하였다. B형간염이 재발한 3명에서 이식 전후의 조직 내 PCR 결과는 음성이었고 PCR상 양성으로 나왔던 환자 중 재발한 환자는 없는 것으로 나와 간조직 내 B형간염바이러스의 발현은 간염 재발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증자의 anti-HBs가 10 IU/L 이상일 때 PCR의 음성률이 높았고 anti- HBs가 10 IU/L 이하일 때 PCR의 양성률이 높았다(P<0.05). 결론: Anti-HBc 양성 환자 중 B형간염이 잠재감염되어 있는 경우가 흔히 있지만 대부분 음성으로 전환되며 B형간염에 대해 적절한 예방적 처치를 하면 이식편 내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는 B형간염 재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Background/Aims: Many patients with positive anti-HBc, but negative HBsAg, are known to harbor occult HBV infection, which may transmit the virus through the graft in liver transplantation. We examined the change of HBV DNA within the liver allograft tissue of the donor with positive anti-HBc, but negative HBsAg, before and after the transplantation and assessed its significance. Methods: Twenty-eight patients with available posttransplant biopsies that received anti-HBc positive liver allografts between April 2000 and November 2003 were enrolled in the study. Intraoperative wedge biopsy of donor liver and needle biopsy of the recipient around the 12th postoperative day were used. HBV DNA within the liver tissue was ident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technique using paraffin-embedded liver tissue. Results: Among 13 patients that showed positive amplification before transplantation, 10 turned negative and 3 remained positive after transplantation. One patient, who was negative, became positive after transplantation. Three patients had recurrent HBV infection, but none had positive PCR before or after transplantation and recurrence was not associated with PCR results. Donors with low anti-HBs titer were more likely to be PCR positive compared to donors with high anti-HBs serology (P<0.05). Conclusions: Under adequate prophylactic measures, the presence of HBV DNA within the liver tissue does not affect recurrence and most allografts harboring HBV DNA before transplantation will eventually show viral clearance. However, many anti-HBc positive allografts are infected by HBV at subclinical level so vigilant surveillance is ess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