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변액보험에서 비대칭적 리스크 특성을 갖는 보증준비금의 경우 기존 연구와 실무에서 확률론적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이를 내포한 변액보험 상품 자체의 수익성은 결정론적으로 분석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보증준비금에만 확률론적 시나리오가 적용되었던 1단계 확률론적 모형화의 한계를 인식하고, 원칙론적인 다단계 확률론적 모형화의 일반적 방법론을 제시하며, 이를 변액보험의 수익성분석에 적용하여 보았다. 분석 결과, 다단계 확률론적 현금흐름을 사용하면 결정론적 시나리오에서 최적가정치 추정시 발생하는 자의성을 제거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으며, 수익성의 확률분포가 비대칭적인 모습을 띠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보증준비금 평가를 미래의 시장상황 변동에 따라 갱신하는 재산출식 다단계 확률론적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변액보험 수익성 평가의 오차를 줄일 수 있었다. 재산출식 다단계 확률론적 방법론의 경우, 1년마다 보증준비금을 재산출하는 정도로도 수익성 평가목적으로는 충분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For variable life insurance with GMXB(Guaranteed Minimum Benefit), the reserves for GMXB as a component of profit analysis are evaluated using stochastic scenario models, but the profit analysis as a whole is still performed via deterministic modeling methodologies. In this study, we recognize limitation of the above one-step methodology where stochastic modeling is applied only to reserves for GMXB; therefore, we extend it and develop principle-based nested stochastic modeling and then adapt it to profit analysis of variable life insurance. The detailed analysis reveals that the nested stochastic modeling eliminates the arbitrariness of best estimate assumptions arising from deterministic models and that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profit is asymmetric. Also, we show that the error in profit margin estimation can be reduced by fully-recalculating nested stochastic modeling, which recalculates the reserves for GMDB with new current market information loaded. The recalculation period of one year is found to be sufficient for the purpose of profit analysis of variable insu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