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학교다문화교육의 현주소를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교다문화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대상은 제주시 다문화교육 정책연구학교 두 곳에 재학 중인 총 1,143명의 일반학생이며, 이들에 대한 자료는 질문지법을 통해 수집하였고 이외에 일반학생과 교사와의 심층인터뷰방법도 병행하였다. 이 논문의 분석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해 좀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성별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다른 학년에 비해 2학년 학생이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일반학생이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갖지 않도록 다문화교육에서 학생의 연령대를 고려해야 한다. 다음으로 일반학생의 다문화가정 학생과의 같은 반을 한 경험이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관심도, 적응도, 호감도, 친밀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일반학생의 다문화가정 학생과의 같은 반을 한 경험 여부는 적응도와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고, 일반학생이 다문화가정 학생을 잘 알고 지내는 것은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관심도, 적응도, 호감도, 친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일반학생이 다문화가정 학생과 서로 어울려 생활할수록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화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따라서 일반학생과 다문화가정 학생이 서로 어울리면서 친구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는 학교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다문화가정 학생과 같은 반을 한 횟수가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관심도, 적응도, 호감도, 친밀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일반학생이 다문화가정 학생과 같은 반을 한 적이 없을 때보다 있을 때 다문화가정 학생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같은 반을 한 횟수의 증가가 반드시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강화시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수업 시간에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 학습할 수 있는 소집단 활동 기회를 확대해 상호 간 협력 경험을 통해 관계에서의 성공 경험을 쌓아나가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some educational measures in order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adjust to school life by investigating a perception of normal students o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statistical analysis with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total 1,143 students from Baekrok elementary school and Suwon elementary school which are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schools in Jeju island. And in-depth interviews method with students and teachers based on research data. A brief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looking at interest, adjustment, favorability and familiarity of normal students o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gender, male students showed higher rates than female students.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gender characteristics when design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order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adjust to school life. Secondly, the study shows that normal students who have school life together with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same class think they adjust to the school life well; however, they have a lower favorability o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us, there is a need for an educational program that helps normal students and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et along with each other and form friendship in the school as this is their main activity place.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o see if normal students knowing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ffects on interest, adjustment, favorability and familiarity towards to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normal students who know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ve higher interest, adjustment, favorability and familiarity than normal students who don’t. Thus, there is a need to make a school environment that normal students and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an get along with each other during their school life. Finally, there is a need for a program that enables normal students to spend time with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uring their school life and feel closer to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