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의 부모-자녀 유대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예비조사 단계의 분석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소재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58명(남: 82명, 여:76명)을 분석하였고, 연구 I~연구Ⅲ의 분석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소재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총 566명(남: 265명, 여: 3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예비조사 결과 청소년들이 지각한 어머니에 대한 표상을 ‘자애’, ‘헌신’, ‘친밀’, ‘존경’, ‘감사’ 및 ‘죄송’ 등의 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아버지에 대한 표상에서는 ‘엄격’, ‘존경’, ‘자애’, ‘헌신’, ‘친밀’, ‘감사’ 및 ‘죄송’ 등의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둘째,연구Ⅰ에서는 예비조사를 통해 구성된 문항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성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아버지에 대한 척도 모두 4개의 요인을 추출할 수 있었다. 각 요인에 대한 요인 명은 ‘친밀’, ‘헌신’, ‘존경’ 및 ‘엄격’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연구 II에서는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개발된 ‘한국형 부모-자녀관계 척도’의 일반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델의 적합도 지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III에서는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부모-자녀관계와 관련된 기존 척도들과의 관련성을 살펴 본 결과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develop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strument(PRI), which measures the cultural uniqueness of Korea parent-child relationship. 158 of college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to participants for the analysis in the preliminary study, and total of 566 of college students (male-256, female-301) participated in study 1 to 3. The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study, 'loving for child', 'sacrifice', 'intimacy', 'respect', 'appreciation' and 'being sorry' were the main categories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d to their mother wheres 'strictness', 'respect', 'loving for child', 'intimacy', 'appreciation' and 'being sorry', were categorized to their father. Based on the result of this categorization, pre-inquiries were made. Second, in the 1st study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by the results of the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inquiries which were made in preliminary study. PRI was consisted of 4 factors: 'intimacy', 'sacrifice', 'respect' and 'strictness'. Third, in the 2nd study, to check the cross-validity of the PRI,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executed, and goodness of fit for the model has shown as appropriate to the data. Last, in the 3rd study the concurrent validity of PRI was examined. To meet the purpose of this examination, PRI was compared with pre-existing instruments, relating to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c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