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아동들을 학교적응아동과 부적응아동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성격 특성과 학습동기, 사회적 지지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이러한 변인들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적응아동과 부적응아동을 구분해주는 요인들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인천과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이며, 어머니가 외국인인 다문화 가정의 아동 총 8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학교생활적응과 성격특성, 학습동기, 사회적 지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검증에서 학교에 적응을 잘 하는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성격특성과 학습동기,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수준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저학년 집단에서는 목표지향성과 성실성, 그리고 교사지지와 가족지지가 학교생활적응의 약 71.2% 이상을 설명해주는 반면에, 고학년 집단에서는 학습동기의 하위 변인인 학업효능감과 목표지향성이 학교생활적응의 80.5%를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분석 결과, 저학년에서는 목표지향성과 자존감지지, 교사지지가, 고학년에서는 학업효능감과 친구지지가 사례의 95% 이상을 정확히 분류해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personality traits, academic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between well-adjusted and maladjusted group to school life among the childre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above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and variables which classify between well-adjusted and maladjusted group were also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87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which mother is foreigner. They recruit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ncheon and Gyunggi area.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school adjust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personality traits, academic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T-test showed that the well-adjusted group had higher level of personality traits, academic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than maladjusted group.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target directedness, conscientiousness, and teacher and family support explained the 71.2% or more of school adjustment variance on the lower grades group. On the other hand, academic efficacy and targer directedness explained the 80.5% of school adjustment variance on the higher grades group. Discriminant analysis showed that the target directedness, support for self-esteem, teacher support on the lower grades group and academic efficacy and friend support on the higher grades group classified well-adjusted and maladjusted group with 95% or more level of accurac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