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타당하고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구안하여 이를 준거로 청소년 대상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모형 설계, 이론적 기반, 요구조사, 전문가 자문의 과정을 통해서 최종 개발되었다. 개발된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프로그램 진행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참여 멘티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중·고등학생으로 실험집단 89명, 중·고등학생 통제집단 93명으로 구성되었다. 대학생과 대학원생 16명이 멘티들을 지도하는 멘토로 참가하였으며, 수퍼바이저가 멘토 교육을 실시하고, 멘토링 프로그램의 진행과 참여를 감독 및 조력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 학습전략이었다.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 그리고 프로그램 종료 한 달 후에 총 3차에 걸쳐서 척도 설문지를 실시하고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속변인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자기조절학습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사후검사 평균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학습전략과 자기조절학습척도에서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평균 점수 차이는 1개월 후인 추후검사에까지 지속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조절학습 이론과 요구조사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멘토교육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개입을 통해서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ing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and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program. The format of Learning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need. The Learning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consists of 10 sessions. The subjects of this program wer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89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93 students assigned to the non-experimental group. The supervisors performed the mentoring education for mentors and supervised the overall process of the mentoring program.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program, pre, post, and follow-up test were evaluated by two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arning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Self-efficacy, Self-regulated Leaning, Learning Strategy.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when compared with scores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In the one month follow-up test, the experimental group maintained the scores on the Self-regulated Leaning, Learning Strategy. The results suggest that Learning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which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may be useful in counseling adolescents to deal with the learning and psychological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