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점차 다양해지고 복잡한 양상으로 변해가고 있는 학교폭력 문제에 대해서 현장 전문가들은 어떻게 학교폭력 유형을 구분하고 있는지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Kane과 Trochim(2007)의 개념도(concept mapping) 분석 방법과 절차를 사용하여 117센터, Wee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 현장 전문가들이 어떻게 학교폭력 유형을 개념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학교폭력 가・피해 유형에 대한 기존 문헌 고찰과 현장 전문가들 대상 인터뷰를 통하여 학교폭력 가・피해 호소 문제 목록을 도출하고 이를 현장 전문가 137명에게 유사한 것 끼리 분류하게 하였다. 분류된 자료에 대해서 다차원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가・피해 세부 유형을 구분하는 차원과 유형 군집을 살펴보았다. 가해 유형은 크게 ‘성적 가해 여부’ 차원과 ‘가해 심각성 정도 차원’으로 분류가 되었으며 세부 7개의 유형 군집이 나타났다. 피해 유형은 크게 ‘일차적-이차적 피해’ 차원과 ‘피해 심각성 정도 차원’으로 분류가 되었으며 세부 5개의 유형 군집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에 대한 연구의 의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how school counselors are classifying the school violences which is getting more complicated and various. For this purpose, Kane and Trochim's (2007) concept mapping analyzing method was applied to understand how experienced school violence counselors, such as 117 center, Wee center, CYS-Net center counselors, have perceived and classified school violence. In this process, we first investigated the literature and interviewed counselors on school violence. Through it we have derived a list of the problems of school violence, and a list of the problem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similarity in meaning. 137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is work.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analysis for this data. As a result, The offender type of school violence has been classified as two-dimensional, such as existence of sexual violence and the severity of violence. The type was classified into subgroups of seven. Then victim type of school violence has been classified as twodimensional; first-secondary victim and the severity of victimization. This type has been classified into groups of five.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