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기라는 가장 개인적 영역의 기록 과정을 매개로 하여 마음 살핌 원리를 적용한 글쓰기를 통해 학생들과 소통을 시도한 교사들의 경험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현상에 대한 복잡성을 있는 그대로 파악하고 그 현상에 따른 본질, 의미를 파악하기에 적합한 질적 접근 방법으로 Giorgi의 심리학적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과정은 지난 6년 동안 적어도 2년 이상 학생들과 학급이나 동아리 또는 수업에서 마음일기를 적용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이 활동을 지속할 의사가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여기서 얻어진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하여 ‘마음 일기를 학생과의 소통 도구로 선택한 교사들의 동기’와 ‘일기 쓰기를 함께 하며 접했던 다양한 경험’ ‘학생들과 교사간에 일어났던 내외적인 변화’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마음일기로학생들과의 소통을 시도한 후 학생들과 지속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으로 관계가 개선되었으며, 둘째, 소외되거나 문제 행동을 하는 학생들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글쓰기를 매개로하여 학생과 개별적으로 교감할 수 있는 기회를 나눌 수 있었다. 셋째, 교사 자신의 외면과 내면을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 자신의 성장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넷째, 학생들 중 심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던 학생들이 자신의 내면을 살피고 안전하게 표출하는 방식을 스스로 습득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마음일기를 사용한 소통이 교사와 학생 간의 전 인격적인 만남과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학생의 학교생활에 적응력을 높여 문제 상황에 부딪혔을 때도 안전하게 해결해 나가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해나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에게 상담의 보조 도구로써의역할과 더불어 마음을 살피는 자기 성찰 도구로써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eachers' experiences of attempting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through diary writing, in which the principle of caring the mind was applied. The study researched the phenomenon by applying Giorgi’s psychological phenomenological methods as an appropriate qualitative approach method to understand its essence and meaning.From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motive of the teachers who chose mind diary as a tool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various experiences obtained from keeping a mind diary together,' and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which occurred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teachers who had the experience of applying mind diary with students in class for two years or more over the past six years and had the intention to continue such activity in the futu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attempting communication with students through mind diar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as improved in a way that enabled them to continue communication. Second, teachers came to understand more deeply students who were isolated or showed problematic behaviors and could have opportunities to individually commune with students. Third,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ng their inner and outer sides, teachers could experience the growth of themselves. Fourth, teachers could find students with psychological problems acquiring on their own the method to examine their inner side and safely express it through the constant use of mind diary.This study found that, despite existing limitations in school conditions, communication using mind diary enables meetings and communication with respec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can help students to learn on their own the method to safely resolve problems by increasing their adaptability to school lif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communication using mind diary will play a role as a self-reflection tool that examines the mind regardless of religion as well a role as a counseling support tool for teachers who were exhausted with demanding tasks and restricted conditions of couns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