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으며 목적은 자기노출 및 신체불만족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에 대한 자아정체감 불일치가 미치는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남자대학생 174명과 여자대학생 228명에게 자기노출척도, 외모평가척도, 신체부분 만족도척도, 성인 인터넷 중독 자기보고용척도, 한국형 현실 공간 자아정체감척도, 한국형 가상 공간 자아정체감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두 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차이는 가상 공간에서 현실 공간 자아정체감을 뺀 값으로 구했으며, 자료는 상관 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기존 연구와 마찬가지로 자기노출과 인터넷 중독과 부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둘 사이의 관계를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의 자아정체감 차이가 부분 매개 한다는 것이 새로이 밝혀졌다. 또한 신체 불만족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 연구와는 달리 둘 사이의 상관이 없어서 매개 모형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신체 불만족이 있는 사람이 현실과 가상 공간 자아정체감 차이가 클 수 있으며 이것은 인터넷 중독에 빠지게 할 수 있다는 경로모형이 유의미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연구가 현실 공간 자아정체감에만 초점을 둔 것과는 달리 가상 공간 자아정체감의 중요성을 일깨워줬으며 앞으로의 인터넷 중독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body dissatisfaction on internet addiction with mediating effect of the discrepancy between real ego-identity and cyber ego-identity to find out the cause of internet addition. Participants consisted of 174 male and 228 female college stud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 and cyber world ego-identity is to subtract the real world ego-identity from cyber-space one and the result is analyzed by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Like prior studies, self-disclosure brings inverse correlation on internet addiction and the discrepancy between real and cyber ego-identity showed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self-disclosure and internet addiction.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internet addiction in this study. We could not apply mediating effect model of the identity discrepancy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internet abuse. Though we found that the more body dissatisfaction brings about the more identity discrepancy and it causes the more problematic internet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