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좌절된 대인관계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34명을 대상으로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척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척도, 좌절된 대인관계욕구 척도, 자살생각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모형검증 결과 대학생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좌절된 대인관계욕구 각각의 부분매개효과와 이 두 변인의 부분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especially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The study included a sample of 534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was found that bot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Korea. Additionally, the partial dual mediation effect of the two intervening variables was also found. Based on these findings, therapeutic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